?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당뇨병과 합병증

 5. 당뇨병성 신경병증

 권고적용군

제2형 당뇨병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경학적 검사

 비교지표

신경학적 검사의 미시행

 결과물

당뇨병성 신경병증 발생률

..

                                   권고 내용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선별검사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

  진단 당시와 그 이후에는 최소한 일 년에 한 번씩 선별검사 시행을 고려한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전기 생리학적 검사방법은 임상양상이 전형적이면

  반드시 시행 할 필요는 없으나 감별진단에서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 진단되면 족부절단의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각이 저하된 발에 대한 특별한 발 관리를 고려한다

•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에 대한 선별검사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

  진단 당시와 그 이후에는 최소한 일 년에 한 번씩 선별검사 시행을 고려한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범주의 약물치료를 고려한다.

 

  1)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진단

    ⑴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다양한 임상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국소적

       이기도 하고 전신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 신경병증들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인

       만성 감각운동성 원위부 대칭형 다발성신경병증과 자율신경병증입니다.

     - 당뇨병환자에서 신경병증의 조기 진단과 관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① 당뇨병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신경병증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치료가 가능합니다.

      ② 증상이 있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치료 선택 약물이 다양 합니다.

      ③ 원위부 대칭형 다발성신경병증의 50% 이상에서 증상이 없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환자 자신의 발에 스스로 감지하지 못하는 상처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④ 자율신경병증은 전신의 모든 부분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⑤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은

         이환율, 사망률, 삶의 질 감소와 일상생활에 제한을 가져오며,

         특히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 환자는 5년 사망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 신경 손상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아직까지 요원하므로 혈당조절을 

       잘하는 것만이 신경병증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고 드물게는 신경손상 을

       회복시킬 수도 있습니다.

   ⑵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당뇨병환자들은 1년에 한 번씩

        10 g 모노필라멘트 검사,

        온도/진동감각 검사(128-Hz tuning fork),

        Pin-prick test 등으로 원위부 대칭형 다발성신경병증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합니다.

     - 2개 이상의 검사를 시행하면 원위부 대칭형 다발성신경병증에 대한 

       진단적인 감수성을 87%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진단은 환자의 전형적인 증상과 징후와 신경학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전형적인 증상(감각저하, 통증이 있는 증상

        <따끔거리고 찌르는 듯한 통증, 타는 듯한 또는 쑤시는 통증>) 

       징후(원위부, 양측성, 감각신경 장애)시 10g 모노필라멘트검사, 진동검사,

       발목반사검사를 시행하고

       다른 원인의 신경병증을 배제한 후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을 진단합니다.

   ⑶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은 당뇨병 초기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위험인자로는 나이, 당뇨병 유병기간, 혈당조절, 망막병증과 신증 그리고

      심혈관질환 등이 있습니다.

    - 말초신경병증으로 진단된 경우는 약 50%에서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특히 그것이 치료 가능한 증상인 경우, 문진 혹은 주의 깊은 진찰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한 임상증상은 안정 시 빈맥, 운동 불내인성, 기립저혈압, 변비, 

      위마비, 발기부전, 발한장애, 신경 혈류 장애 등입니다.

    -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은 자율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안정 시 빈맥(분당 맥박수 >100회), 기립저혈압(기립 후 수축기 혈압

      저하 >20 mmHg)이 있으면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을 의심할 수 있으며

      심혈관계 자율 신경검사를 시행하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그 외 위장관계, 비뇨기계, 피부, 동공반사의 이상 소견이 함께 동반된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2)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치료

    ⑴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원위부 대칭형 다발성신경병증을 동반한 당뇨병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혈당조절입니다.

     - 통증과 같은 증상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여러 가지 약제들이 무작위 비교 연구에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어

       현재 알파 지방산, 감마 리놀렌산제, 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α2δ

       ligands),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등의 약물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과 병발 질환들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 항경련제(Pregbalin) 사용 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와 주의사항에

       따라서 삼환계 항우울제 혹은 SNRI를 사용하고

       통증이 여전히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아편유사제 단독요법 후 통wmd

       이 여전히 조절되지 않은 경우에 병용요법을 실시합니다. 

     - 삼환계 항우울제(TCA) 사용 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와 주의사항에 

       따라서 SNRI 혹은 항경련제(Pregbalin)를 사용하고 통증이 여전히 적절

       하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아편유사제 단독요법 후 통증이 여전히

       조절되지 않은 경우에 병용요법을 실시합니다.

     - 선택적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SNRI) 사용 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와 주의사항에 따라서 삼환계 항우울제 혹은 

       항경련제를 사용하고 통증이 여전히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아편유사제 단독요법 후 통증이 여전히 조절되지 않은 경우에 병용요법을

       실시합니다.

   ⑵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

      위마비 환자에게서 위장관 운동 개선제를 사용하거나 방광기능 장애나

      발기부전을 동반한 경우 관련 치료제를 사용하는 등 자율신경병증의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약제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에서 각종 약제의 사용은 환자 자신의 증상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에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김병광 2012.12.24 10584
22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Ⅶ. 약물요법: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Ⅷ. 약물요법: 비당뇨병성 만성 신질환 김병광 2012.12.26 10782
22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김병광 2013.01.05 10190
22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미네랄-골대사질환 치료지침 김병광 2013.03.04 9223
22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빈혈에 대한 치료지침 김병광 2013.01.15 10379
222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김병광 2013.03.22 9738
221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 지침 Ⅱ. 만성 신질환 1-4단계의 위험도 구분 Ⅲ. 만성 신질환 5단계의 고지혈증 치료 지침 김병광 2013.01.25 10624
22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지침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김병광 2013.01.21 9801
21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21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Ⅳ. 혈당조절의 감시 Ⅴ 혈당조절 약제 4 김병광 2013.01.11 9878
217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및 치료  김병광 2013.03.18 9678
21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215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4 김병광 2012.11.28 16847
21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4 김병광 2012.11.16 12704
213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212 기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의 운동처방의 기본 김병광 2011.05.02 19728
211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210 기타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서 운동처방(사진은 PPT 자료실 보시면 됩니다) 김병광 2011.05.02 30207
209 기타 생활습관병 김병광 2011.05.02 18614
208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8. 일본뇌염 김병광 2013.04.09 9943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