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당뇨병과 합병증

 3. 당뇨병 신증 ②

 권고적용군

당뇨병성 신증 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일차 고혈압 약제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 당뇨병성 신증 치료

 비교지표

당뇨병성 신증을 치료하지 않음

 결과물

당뇨병성 신증 진행 및 합병증

.

                                  권고 내용

 •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혈압을 최적으로 조절해야 함을 권고한다.1)


 • 사구체 여과율이  30 mL/min/1.73 m²미만으로 저하된 당뇨병성 신증환자에서

   혈당조절목표 및 혈당 저절방법에 대한 재평가를 권고한다. 2)

  당뇨병성 신증 환자는 일차 고혈압 약제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하여 혈압을 최적화해야 함을 권고한다.3)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할 때

   혈청 크레아티닌과 칼륨 모니터링을 고려한다.4)

 • 당뇨병성 신증 진행 평가와 치료 반응을 알기 위해

   알부민뇨 모니터링을 고려한다.5)

 • 당뇨병성 신증 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0.8-1.0 g/kg/일로 하고,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1.73 m² 미만으로 신증이 진행된 경우

   단백질 섭취 를 0.8g/kg/일 이하로 제한함을 고려한다.6)

 • 당뇨병성 신증환자는 저염식을 실천해야 하면, 염분섭취를 2g/일로 제한하는

   것을 고려한다. 7)

 • 아래의 경우, 신장내과 전문의에게 의뢰를 고려한다. 8)

     ①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1.73 m²미만인 경우

     ② 알부민뇨가 300 mg/g 이상인 경우

     ③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④ 고칼륨혈증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 1) :알부민뇨(거대알부민뇨)를 동반한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게서 적극적인

         혈압 조절은 사구체여과율의 저하 및 말기신부전으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켰습니다.

      -  따라서 당뇨병환자에게서 고혈압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일차적인 혈압조절의 목표는 수축기 140 mmHg, 이완기 90 mmHg미만

         입니다.

         그러나 단백뇨의 정도에 따라 목표 혈압을 좀 더 적극적으로 조절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어, 일부 치료지침에서는 단백뇨가 있을 때

         는 목표혈압을 좀 더 낮춰 제시하기도 합니다.


     2)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1.73 m² 미만으로 저하된 당뇨병 환자에서 

         저혈당 및 사망의 위험도가 증가하므로 혈당조절목표를 신기능이 정상

         인 환자에 비해 HbA1c를 7.0% 전후로 조절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

         다. 

     3) :알부민뇨가 당뇨병성 신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그 양이 증가할수

         록 사구체여과율이나 신기능의 감소가 빨라 집니다.

         대규모 임상 연구를 renin-angiotensin system(RAS)차단제가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과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이 증명되었으로므 당뇨병환자가

         혈압이나 신증을 동반하고 있다면 이 약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합니

         다.

     4)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는 고칼륨혈증과 신기능악화를 일으킬수 있으

         므로, 고칼륨혈증(혈청칼륨이 5.5 mEq/L를 초과)이 발생하거나, 투여 3

         개월 이내에 사구체 여과율이 30% 이상 감소하였다면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5)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 사용후 알부민뇨의 감소정도에 따라 신증의

         진행이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치료에 대한 반응과 신증의 진행을

         평가하기 위위해 알부민뇨를 지속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당뇨병성 신증환자에서 단백질 섭취를 0.8 g/kg/일로 제한하였을 때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 거대알부민뇨를 동반한 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0.8-1.0 g/kg/일로 제한할

         것을 권유하고 있으며, 일단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0.8 g/kg/일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그러나 단백질 섭취의 과도한 제한은 영양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단백제한 식사는 반드시 당뇨병과 신장병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 의사와 영양사가 처방해야 합니다.

     7) :고혈압이 동반된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 염분섭취를 2g/일로 제한 하였

         을 때 혈압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심혈관 위험도를 김소시킬 수 있

         고, 추가적인 의료 비용없이 혈압 감소 효과가 있으므로 염분 제한의 중

         요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8) :당뇨병성 신증의 진행에 따라 신기능이 저하되게 되면

         만성 신질환의 합병증 등을 감안한 보존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적절한 신대체 요법의 시기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적절한 혈관 통로의 생성 및 신장 이식 준비와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을

         위하여 적어도 1년의 기간이 필요하므로

         사구체여과율이 30 mL/min/1.73 m2 미만으로 심한 신기능 저하가 동반된

         환자에서는 신장내과 의사에게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24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245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244 소화기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의 진단과 치료 김병광 2016.05.17 5306
243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242 기타 남성 갱년기 김병광 2013.07.08 10268
241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240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7
239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238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23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236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235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234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23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23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23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230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22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22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