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 당뇨병의 선별검사

권고 내용

 • 당뇨병 선별검사로 공복혈당 측정, 경구당부하검사 혹은 당화혈색소 측정을

  권고합니다.

 • 공복혈당 수치가 100-125 mg/dL 또는 당화혈색소 수치가 5.7-6.4%인 경우

   6-12개월마다 공복혈당 또는 당화혈색소 검사를 고려합니다.

 • 혈당 측정은 정맥 전혈을 채취하여 분리한 혈장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부득이하게 혈청을 이용할 경우 채혈 30분 이내에 분리해야 한다.

 

☎ 선별검사의 목적은 어떤 질병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찾아내는

  것으로 당뇨병은 선별검사와 진단검사가 동일합니다.


           진료 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연령별적용, 동반이환 환자의 경우, 근거가 불충분한 권고의 적용 등)

  • 체질량지수 ≧25 kg/m2인 경우에 선별검사를 시행합니다.

  • 당뇨병의 선별검사는 40세 이상 성인이거나 아래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는 30세 이상 성인에서 매년 시행하는것이 좋습니다

    - 과체중(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

    - 가족(부모, 형제자매) 중 당뇨병 있는 경우

    -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 임신성당뇨병이나 4 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 고혈압(140/90 mmHg 이상 또는 항고혈압약제 복용)

    -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35 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 mg/dL 초과

    - 다낭난소증후군 또는 흑색가시세포증 등 인슐린저항성이 의심될 때

    -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제2형 당뇨병은 진단 시점 이전 상당 기간 동안 대사이상들이 진행되어 진단 시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선별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고위험군에서는 더욱 철저하게 시행되어야 합니다.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공복혈당장애 혹은 당화혈색소에 따라 두 단계로 나누어

  추가 검사를 시행토록 하고 있습니다.

    즉 [1단계] 공복혈당 100-109 mg/dL, 당화혈색소 5.7-6.0%인 경우 

       매년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 측정을 하고,

       [2단계] 공복혈당 110-125 mg/dL, 당화혈색소 6.1-6.4%인 경우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토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 당뇨병을 선별검사함으로서 당뇨병을 예방하고 당뇨병을 조기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6. 당뇨병의 예방

 권고내용

  •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은 군(내당능장애, 공복혈당장애, 당화혈색소가

    5.7-6.4%인 경우)에서 당뇨병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식사조절과 운동)을 적극적으로 조언할 것을 권고합니다.

  • 비만한 고위험군에서 생활습관개선으로 체중을 감량하고자 할 때

    최초 체중의 5-10% 감소를 목표로 권합니다.

 

   ☎ Diabetes Prevention Program, Finnish Diabetes Prevention,

      Da Qing Diabetes Prevention3 연구 등에서

      공복혈당장애 혹은 내당능장애 군이 식사, 운동요법과 체중감량을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약 30-50% 이상 당뇨병 발생률이 감소되었습니다.

      이상 세 가지 연구 모두 종료된 후에도 당뇨병 발생 예방효과는 최소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지속되었습니다.

      발생위험이 높은 군에서 매년 선별검사 시행을 통해 당뇨병전단계 상태를

      조기에 찾아내 적극적 중재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이미 당뇨병으로 진행된 환자를 빨리 발견해 합병증 증가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당뇨병의 고 위험군 상태에서 당뇨병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는

      적어도 매년 1회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24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245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244 소화기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의 진단과 치료 김병광 2016.05.17 5306
243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242 기타 남성 갱년기 김병광 2013.07.08 10268
241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240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239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238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23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236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235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234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23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23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23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230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22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22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