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권고 적용군  (Population)

  제2형 당뇨병환자

진료환경 (Healthcare setting)

  외래

 중재/실행지표 (Intervention)

 신체계측, 혈액검사

 비교지표  (Comparator)

 신체계측, 혈액검사 미 시행

 결과물  (Outcome)

 심혈관질환 예방

 

권고 내용

  • 대사증후군¹ 은 인슐린저항성을 기반으로 하며 비만,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총체적으로 포함한다.

  •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² 은 복부비만을 필수 요소로 하며,

    허리둘레가 남자 90 cm, 여자 85 cm 이상인 경우를 복부비만으로 한다.

   ☎ ¹ : 대사증후군은 흔히 당뇨병, 고혈압, 비만, 죽상경화증,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대사증후군의 중심에는 인슐린저항성이 있습니다.


   ²:1988년 Reaven에 의해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내당능장애 및 복부비만과의 개념이 처음 제시된 것을 바탕으로 1999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정의를 처음으로 제시하였습니

      다. 대사증후군 자체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대사질환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에 대한 높은 예측률

      가지고 있습니다.

 

  표 1. 미국심장학회와 세계당뇨병연맹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험인자 진단기준

 위험인자

  진단기준

1.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 90 cm

   여자                  ≥ 85 cm

2. 중성지방

     ≥ 15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3. HDL-콜레스테롤

   남자                   < 4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여자                   < 5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4. 혈압                  ≥ 130/85 mmHg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5. 공복혈당

     ≥ 10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 위 기준 중 3개 이상에 해당될 때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음

  

표 2. 한국인 대사증후군의 진단 권고안

 위험인자

   진단기준

1.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 90 cm

   여자                ≥ 85 cm

2. 중성지방

   ≥ 15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3. HDL-콜레스테롤

   남자                < 4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여자                < 5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4. 혈압               ≥ 130/85 mmHg 또는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5. 공복혈당

  ≥ 100 mg/dL 또는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 위 기준 중 3개 이상에 해당될 때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음

                                                                 

대사증후군을 진단함으로서 여러 대사질환과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고

  심혈관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24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245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244 소화기질환 기능성 소화불량의 진단과 치료 김병광 2016.05.17 5306
243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242 기타 남성 갱년기 김병광 2013.07.08 10268
241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김병광 2011.05.02 17061
240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239 당뇨병 당뇨병 관리 1. 식사요법 김병광 2011.05.02 16514
238 당뇨병 당뇨병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246
237 기타 당뇨병성 콩팥병 3 김병광 2012.07.10 14277
236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235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234 기타 독감(인플루엔자)바이러스란? 김병광 2012.01.18 18688
233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1 김병광 2011.05.08 15280
232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2 김병광 2011.05.09 15566
231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3 김병광 2011.05.09 14094
230 돌연사 돌연사(심장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 4 김병광 2011.05.09 14408
229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22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김병광 2012.12.10 10265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