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권고 적용군  (Population)

  제2형 당뇨병환자

진료환경 (Healthcare setting)

  외래

 중재/실행지표 (Intervention)

 신체계측, 혈액검사

 비교지표  (Comparator)

 신체계측, 혈액검사 미 시행

 결과물  (Outcome)

 심혈관질환 예방

 

권고 내용

  • 대사증후군¹ 은 인슐린저항성을 기반으로 하며 비만,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총체적으로 포함한다.

  •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² 은 복부비만을 필수 요소로 하며,

    허리둘레가 남자 90 cm, 여자 85 cm 이상인 경우를 복부비만으로 한다.

   ☎ ¹ : 대사증후군은 흔히 당뇨병, 고혈압, 비만, 죽상경화증,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대사증후군의 중심에는 인슐린저항성이 있습니다.


   ²:1988년 Reaven에 의해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내당능장애 및 복부비만과의 개념이 처음 제시된 것을 바탕으로 1999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정의를 처음으로 제시하였습니

      다. 대사증후군 자체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대사질환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에 대한 높은 예측률

      가지고 있습니다.

 

  표 1. 미국심장학회와 세계당뇨병연맹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험인자 진단기준

 위험인자

  진단기준

1.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 90 cm

   여자                  ≥ 85 cm

2. 중성지방

     ≥ 15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3. HDL-콜레스테롤

   남자                   < 4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여자                   < 5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4. 혈압                  ≥ 130/85 mmHg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5. 공복혈당

     ≥ 100 mg/dL 또는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 위 기준 중 3개 이상에 해당될 때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음

  

표 2. 한국인 대사증후군의 진단 권고안

 위험인자

   진단기준

1.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 90 cm

   여자                ≥ 85 cm

2. 중성지방

   ≥ 15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3. HDL-콜레스테롤

   남자                < 4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여자                < 50 mg/dL 또는 이상지혈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4. 혈압               ≥ 130/85 mmHg 또는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5. 공복혈당

  ≥ 100 mg/dL 또는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중인 경우

* 위 기준 중 3개 이상에 해당될 때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음

                                                                 

대사증후군을 진단함으로서 여러 대사질환과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고

  심혈관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4.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 시 대처방법 3 김병광 2016.09.25 4945
28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28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28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28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28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28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28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27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27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27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27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27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27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27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27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27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27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26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26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