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Ⅸ. 고혈압의 특수상황 

 3.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 권고내용

    1) 뇌졸중의 일차예방을 위한 혈압조절

       ① 뇌졸중 일차예방을 위해 혈압조절의 목표는 140/90 mmHg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합니다.

       ② 뇌졸중 일차예방을 위하여 특정한 종류의 항고혈압제를 선택하는 것보다

          는 적절하게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단 특별한 적응증이 없고 동일한 혈압강하 조건에서는 베타 차단제 보다

          는 칼슘 통로 차단제나 레닌-안지오텐신계 억제제를 권고합니다.

       급성기 이후 신경학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허혈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의 혈압치료는 뇌졸중 및 주요 혈관질환의 재발감소에 중

          요합니다.

          이러한 치료효과는 뇌졸중 발병전의 고혈압 병력과는 무관하므로 모든

          허혈뇌졸중 환자들에서 적절하게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고혈압 약제의 선택과 혈압저하의 목표치는 협착 혹은 폐쇄성 두개외

          혈관질환 유무, 당뇨병이나 신장질환동반 유무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⑤ 허혈뇌졸중 환자를 위한 적절한 고혈압 약제 선택은 관련 근거가 부족하

          여 아직 논란이 있으나,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와 이뇨제의 병용투

          여를 권고합니다.



  ☎ 115/75 mmHg 이상의 혈압에서는 수축기혈압 20 mmHg, 확장기혈압 10 mmHg

       가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수축기혈

       압 10 mmHg 또는 확장기혈압 5 mmHg를 낮추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을 약

       40%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고혈압 치료는 뇌졸중 발생을 약 31%(95% CI, 26-36%) 감소시켰습니다.


     • 뇌졸중 일차예방에 있어 특정한 종류의 항고혈압제가 혈압조절외의 추가적

       인 뇌졸중예방효과가 있다고 할 근거는 미약하지만 1차약으로 칼슘통로차단

       제 또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나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등이 베타차

       단제에 비하여 뇌졸중예방에 우수하였습니다.

     • 발병 3주-14개월 이후의 일과성허혈발작과 허혈 및 출혈뇌졸중환자에서 적

       절한 혈압치료는 뇌졸중, 혈관질한 및 사망률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습

       니다.

     •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와 이뇨제를 복합 투여한 경우 뇌졸중 재발은

       43%, 주요 혈관질환 재발은 40%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안지오텐신전환효

       소억제제의 단독투여는 유효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혈압이 높지 않았던

       뇌졸중환자들도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와 이뇨제 병용투여로 혈관질환의

       재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보고되어 허혈 뇌졸중 환자들

       에게 안지오텐신효소억제제와 이뇨제 병용투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89
206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Ⅴ.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요법 - 1. 약제의 선택기준 김병광 2015.09.17 6197
205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요법 - 1. 이상 지질혈증을 위한 식사요법 김병광 2015.09.16 6209
204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정리:Ⅴ.약물요법 김병광 2015.10.02 6238
20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Ⅲ. 당뇨병 관리 및 치료받기: 2 김병광 2015.07.21 6243
202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4. 노인과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9.21 6300
201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5. 치료 후 추적관찰 김병광 2015.09.14 6304
200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 - 3. 기타 생활요법 김병광 2015.09.16 6312
199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2. 만성콩팥병에서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9.21 6358
19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19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김병광 2015.08.01 6408
196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6.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김병광 2015.09.21 6520
195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정리:Ⅲ. 치료 김병광 2015.10.02 6531
194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Ⅵ. 특수상황에서의 이상지혈증 - 1. 당뇨병에서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9.21 6539
19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19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191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Ⅳ. 이상지혈혈증의 비약물요법 - 2.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 김병광 2015.09.16 6657
19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61
18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18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