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6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Ⅷ. 이차성 고혈압

 1. 이차성 고혈압

  1) 40세 이전에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당뇨병 등이 없이 고혈압이 발견된 경우

     또는 청소년기 이전에 발생한 고혈압은 이차성 고혈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갑자기 심한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혹은

     3가지 이상 혈압약제를 최고 용량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조절이

     불량한 경우 이차성 고혈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경우 해당 전문의에게 의뢰할 것을

     권고합니다.

  ☎ • 이차성 고혈압은 보태성 고혈압을 배제하고, 교정 가능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로 정의합니다.

     • 대표적 이차성 고혈압 원인질환의 임상양상 및 일차선별검사 방법은[표.1]

       과 같습니다.

  ☎ 이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의 약 5~10%이지만 원인 질환을 알게 되면

       수술 등을 통해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서 질환에 대한 의심과

       정확한 진단이 요구됩니다.

     대개 20대~40대 이전에 비만, 당뇨병, 신장질환, 기존 심혈관질환등이 없

       이 갑작스럽게 발생한 고혈압이 있는 경우, 발생 초기부터 고혈압의 합병증

       (장기손상 등)을 보이는 경우, 저칼륨혈증이나 고칼슘혈증 등 전해질 이상

       이 동반된 경우, 쿠싱병 증후군의 전체 증상이 보이는 경우 등 이차성 고혈

       압을 의심해야 됩니다.

     • 고혈압의 약제를 3가지 이상 최고용량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저항성 고혈압의 경우에도 이차성 고혈압 동반 유무를 확인

       해야 합니다.


[표.1]대표적 이차성 고혈압 원인질환의 임상양상 및 일차 선별검사 방법

원인 질환

임상적 특징

일차 진단

임상증산

신체검사

검사소견

신장질환

요로감염 협착의 과거력 진통제 남용

가족력

혈뇨 동반

복부 내 종양 촉진(다낭성

신장 질환경우)

1) 요검사상

   단백질

   적혈구 혹은    백혈구 검출

2) 사구체 

   여과율 감소

신장 초음파

신혈관성

고혈압

갑작스런발병, 3가지이상의 약제에도 반응

하지 않은 저항성 고혈압

복부잡음 청진

복부 초음파상 두신장 길이가 1.5 cm 이상차이가 나는 경우

신장 도플러

초음파

알도스테

론증

근력감퇴, 조기 발병,

고혈압의 가족력,

40세 이전에 뇌졸중과거력

부정맥

(아주 심한

저칼륨혈증

에서 발생)

저칼륨혈증

레닌,알도스테론

혈중 검사

(저칼륨혈증교정 및 레닌 -알도스테론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 중단 이후)

쿠싱증후군

체중 증가

다뇨

다음

중심비만

월상안

자색선조

다모증

고혈당

24시간 소변 코티솔측정

갈색세포종

두통

심계항진

발한

창백

심한 혈압의변화

기립성 저혈압

부신우연종

-24시간 소변 메타네프린 측정

-혈중 유리

메타네프린 측정


☎ 신혈관성 고혈압은 대부분 여러 가지 약제의 고용량에도 잘 반응하지 않는

     저항성 고혈압의 형태로 많이 나타나며,

     신장 부위 복부에도 잡음이 청진되거나 의심되어 신장 도플러 초음파를 시행

     하는 경우도 있으나 흉통 등의 이유로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면서 우연히 발견

     되는 경우도 있으며, 신동맥 협착의 이유는 80~90%는 동맥경화증(atheroscl-

     erosis)에 의한 것이고 10% 미만은 섬유근성이형성증(fibromuscular dyspl-

     asia)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생기는 내분비질환(쿠싱병, 알도스테론증, 갈색세포

     종 등) 들은 각각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

     로 이를 구별하여야 합니다.

     - 알도스테론 분비 종양은 신장에서 칼륨 배설이 증가하게 되므로 혈중 칼륨

       수치가 정상보다 약간 낮게 나오는 경우가 흔하고, 저칼륨혈증이 심한 경우

       근무력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쿠싱 증후군은 비만, 혈관확장증, 월상안 , 복부 비만, 자색선조 등이 동반

       되는 임상 양상이 있습니다.

     - 갈색세포종은 부신의 수질에서 에피네프린, 메타네프린 등이 기적으로 나오

       는 양상으로 급격한 혈압 상승과 교감신경계 항진 증상을 동반합니다.

                                 


                                                                                     - 대한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206 고혈압 고혈압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093
205 고혈압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김병광 2011.05.02 21922
204 고혈압 고혈압 2( 고혈압 분류/고혈압의 표적장기란?/고혈압 약을 복용시 이점/고혈압 위험인자 등 등 김병광 2011.05.02 19535
203 고혈압 고혈압 1(고혈압이란? 혈압측정 방법 은?) 김병광 2011.05.02 18587
20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20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20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19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19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19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19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19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19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19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19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19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1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18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1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