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혈압은 120/80mmHg 미만에서 심혈관 위험이 가장 적고

   고혈압 전단계는 고혈압으로 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활습관을 교정하여 미리 예방을 해야 합니다.


2. 혈압은 측정하는 장소와 여러 원인에 따라 상승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 시 마다 변동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해야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 있어 도움이 됩니다.

   혈압은 진료실 혈압, 가정혈압, 활동혈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되는데

   이차성 고혈압은 완치가 가능한 것이 있으므로 의심되면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일차성 고혈압은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가 있으면 생활습관

     (비만, 싱겁게 먹기, 운동하기, 금연, 알코올섭취 제한 등)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고혈압 조절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심혈관질환이 예방입니다.

   고혈압 자체에 의하여 일어나는 합병증

     (악성고혈압, 심부전, 뇌출혈, 신경화, 대동맥질환 등)과

   고혈압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동맥경화가 촉진되어 일어나는 합병증

     (뇌경색, 말초혈관질환, 급사 등)의 예방하고,

   이미 합병증이 발생하였다면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재발을 막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혈압 이외에 심혈관 위험요인

     (성별, 연령, 조기심혈관질환의 가족력, 이상지혈증, 공복혈당, 흡연상태,

      체질량지수 및 복부비만 등)를 찾아 같이 조절해야 하고

   고혈압에 의하여 뇌졸중, 심혈관질환 등 장기손상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5. 고혈압의 치료 목표혈압은

   일반적으로 140/90mmHg 미만이며

   80세 이상은 150/90mmHg 미만

   임신성 고혈압은 150/100mmHg 미만

   당뇨병이 동반된 환자는 140/80mmHg 미만

   만성콩팥병 환자로서 단백뇨가 있는 경우 130/80mmHg 미만으로

   개별화 해야 합니다..


6. 고혈압의 합병증은

   뇌 - 뇌졸중, 일과성허혈성발작, 혈관성 치매

   망막 - 3-4단계 고혈압성 망막증

   심장 - 죄심실비대,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콩팥 - 미세단백뇨/현성단백뇨, 만성콩팥병

   혈관 - 축상경화반, 대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목동맥 내중막 비후,

          맥파전달속도 상승 등이 있습니다.


7. 고혈압의 치료는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요법이며 먼전 생활습관교정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 싱겁게 먹기, 채소와 과일 많이 먹기, 체중 감량, 운동, 금연, 절주가

     있습니다.


8.고혈의 약물치료는 60세 미만에서 수축기 140mmHg 이상 

                     80세 이상에서는 수축기 150mmHg 이상 시  

                     이완기 90mmHg 이상 시는 나이에 관계 없이

                 생활습관 조절 후 변동이 없으면 약의 복용을 시작합니다.

  환자의 동반된 질환에 따라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약제가 있어 환자마다

  개별화된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혈압 약물선택의 일반지침(2014년 일차의료용 고혈압 임상진료지침)

  - 단백뇨, 신기능장애: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 무증상 죽상동맥경화증: 칼슘 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화효소억제제

  - 심실비대: 칼슘 통로 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화효소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 심근경색증: 베타 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화효소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 협신증, 심부전증: 베타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 심부전증: 베타 차단제, 안지오텐신전화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이뇨제, 알도스테론 차단제

  - 대동맥류: 베타 차단제

  - 말초혈관질환:  안지오텐신전화효소억제제, 캴슘 통로 차단제

  - 수축기 단독고혈압: 이뇨제, 칼슘 통로 차단제

  - 대사증후군: 안지오텐신전화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 당뇨병: 안지오텐신전화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

  - 임신: 베타차단제, 메틸도파(국내 가용되지 않음), 칼슘 통로 차단제 등

   

    환자에 따라 차별된 약제가 우선 시 되나 이것도 의사와 상의하여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9. 고혈압 약은 1기 고혈압이면서 한 가지 약제로 잘 조절이 된 경우 서서히

   줄이다가 중단해 볼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고혈압환자가 약 도움이 없이 혈압이 정상이 되도

   부정맥,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만성콩팥병이 동반된 경우

   고혈압약이 혈압뿐만 아니라 이들 질환에 위하여 사용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을 하고 중단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5.07.29 6007
22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김병광 2015.07.30 10096
22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22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김병광 2015.07.30 5919
22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22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56
22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 김병광 2015.07.31 5822
22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① 김병광 2015.08.01 5898
21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② 김병광 2015.08.01 6034
21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21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김병광 2015.08.01 6408
21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 김병광 2015.08.01 5835
215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Ⅰ. 서론 김병광 2015.09.10 4942
214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1. 이상지질혈증의 선별대상 김병광 2015.09.10 5009
213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2. 이상지질혈증의 진단방법 김병광 2015.09.10 5228
212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Ⅱ.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 3. 이상지질혈증의 진단기준 6 김병광 2015.09.10 5947
211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2 4790
210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2 4786
209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2.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3 4759
208 콜레스테롤 2015년 일차의료용 이상지혈증 임상진료지침 - Ⅲ. 이상지혈증의 치료 - 3.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목표 김병광 2015.09.13 5531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