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5.04.17 14:00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2

조회 수 105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불현성 갑상선지능저하증이란 TSH는 증가되있으나 FT4가 정상범위에 있을

   때입니다.

   일반적으로 TSH가 10mIU/L 이상에서는 LT4투여를 해야 하지만 4.5-10mIU/L

   인 경우는 아직도 논쟁거리입니다.

   - 70세 이상 고령의 환자에서는 6-12개월 사이에 추적검사를 시행하며,     

   - thyroid peroxidase(TPO)에 대한 자가항체가 양성인 환자에서

     현성 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의 이행을 예방 수 있고, 인지하지 못한 증상들

     (변비, 우울,피로)을 호전시키며, 지질이상 호전, 심근수축력 향상으로

     대사증후군과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임산부이 경우에도 모체와 태아에 더 도움이 되므로 LT4치료가 권고됩니다.

  ☎ 즉 환자의 나이, 현성 갑상선지능저하증으로의 진행가능성, 삶의 질,

     인지기능, 대사질환 및 심혈관위험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에

     따라 치료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고령이 아닌 환자는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거나,

     갑상선종(goiter)이 있는 경우, 임신 또는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불임,

     배란장애가 있는 여성에서는 LT4를 시행함, 항TPO항체농도가 고농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빠르게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LT4치료가 권고됩니다.


6. 갑상선자가항체검사의 중요성

   갑상선항체는 갑상선질환의 원인을 감별진단하는데 도움이 되고,

   병의 경과에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관련된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예측하는데

   가치가 있습니다.

   - 즉 항TPO항체는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의 90%이상에서 양성이며,

   - 항체가 양성인사람은 현재 갑상기능이 정상이라도 향후 갑상선기능저하증

     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고,

     갑상선종이나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도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제1형 당뇨병 환자, 특발성 애디슨병, 류마티스관절염을 포함한

     결체조직질환, Goodpasture's sydrome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

     갑상선자가면역항체가 관찰되었습니다.


7. 갑상선염

     아급성갑상선염 - 갑상선 부위의 압통, 갑상선중독증에의한 전신통증,

     발열과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염증표식자가 증가되고, 갑상선스캔상 요오드섭취가 감소되어있습니다.

     치료는 베타차단제, 아스피린 또는 NSID를 사용하며 증상이 심하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정상갑상선기능이 회복까지는 4-6주가 걸리고 도중에 일시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무통성 갑상선염과 산후 갑상선염 - 자가면역과 관련이 있어 자가면역항체

     가 양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갑상선에 통증이 없고, 염증수치가

     증가되지도 않으나 갑상선 조직에 림프구 침윤이 관찰됩니다. 

     일시적으로 갑상선지능항진증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항갑상선제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고, 증상조절을 위한 베타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과성기능저하증 시기에는 단기간 LT4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23 2545
28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Ⅰ. 맥파전달속도 및 발목상완지수 김병광 2018.03.03 2220
285 기타 신체활동과 국민 5대 사망질환 예방 김병광 2011.05.02 21361
284 기타 성인 예방접종 기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1. 의료인 김병광 2013.05.22 10178
283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282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2. A형간염 김병광 2013.03.25 10049
28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 B형 간염 4 김병광 2013.03.25 10841
280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4. 임신부 3 김병광 2013.06.03 10229
27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2. 기타 직업군 김병광 2013.05.25 9808
278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3. 해외여행자 김병광 2013.05.31 11296
27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2. 면역저하자 4 김병광 2013.05.20 13652
276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1. 만성질환 김병광 2013.05.17 9888
275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9. 대상포진 3 김병광 2013.04.19 11019
274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273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6.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김병광 2013.04.06 9926
272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5. 인유두종바이러스 김병광 2013.04.05 9628
27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4. 폐렴구균 김병광 2013.04.01 10598
270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3. 인플루엔자 김병광 2013.03.30 9393
26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8. 황열 김병광 2013.05.10 10131
268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7. b형 헤모필루스 인풀루엔자 김병광 2013.05.08 1033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