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5.04.17 12:44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1

조회 수 103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갑상성기능저하증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영구적이므로 일생동안 호르몬보충요법

  이 필요합니다.

1. 갑상선호르몬제의 선택

  ① levothyroxin(LT4) - 일차적 선택약입니다.

  ② levothyronine - 갑상선암 수술 후 추적관찰 시에 일시적으로 사용합니다.

  ③ 두 약제의 복합제( levothyroxin + levothyronine)

  ☎ 음식에 의해 흡수가 방해되기 때문에 공복 시 주로 기상 후 식사 30분전에

     복용하도록 권합니다.


2. 용량결정 및 추적관찰

   치료목표는 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의 호전 및 TSH를 정상범위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경우에는 fT4)내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임신한 경우가 아니라면 TSH를 정상의 하한치로 유지하는 것은 이득이

   없습니다.

   고령에서는 심혈관 위험이 증가하고 골소실이 증가하여 골다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4-6주마다 하여 유지량이 결정되면 6-12개월 간격으로 측정합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임상증상과 호르몬검사 결과가 함께 평가되어야 합니다.

   혈청 TSH와 T4의 수치는 LT4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채취는 약복용

   이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혈관계질환이 없는 60세 이상의 환자는 50μg,

   심혈관계질환이 없는 60세 미만의 건강한 환자는 이상체중기준

   1,6μg/kg/day의 용량으로

   협신증 또는 부정맥과 같은 심혈관계 영향이 예상되는 환자는 25-50μg의

   소량으로 시작하여 4-6주 간격으로 서서히 증량합니다.

   이차성 갑상성기능저하증 및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은 경우이거나 방사선

   요오드로 잔존갑상선제거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합니다.


3. 임신과 갑상선기능저하증

   임신부에서 미국갑상선협회권고안은 TSH를

   임신 1기에는 0.1-2.5mIU/L,

   2기에는 0.2-3.0mIU/L,

   3기에는 0.3-3.0mIU/L 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LT4 용량은 임신 전 투여량의 약 30%정도 중량하여 투여하며

   임신중반기까지 4주마다, 이후에는26-32주 사이에는 적어도 한번

   갑상선호르몬검사를 시행하여 용량을 조절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18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18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18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18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18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18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180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17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17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17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17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17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4.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 시 대처방법 3 김병광 2016.09.25 4945
17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17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2. 다제내성 결핵 이외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3 김병광 2016.09.26 3153
17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17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4.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8 3440
17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16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16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