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7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방사성요오드

  1)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전 처치

    ⑴ 방사선 요오드 치료 후 갑상선 중독증이 도 심해질 경우 위험도가

       증가되는 그레이브병 환자들 즉 갑상선중독증이 심해지거나

       fT4치가 정상상한치의 2-3배 이상이 되는 경우, 노인 및 갑상선중독증이

       악화되면 위험도가 증가되는 병발질환(심혈관질환, 신부전, 감염, 외상,

       조절이 되지 않는 당뇨병, 뇌혈관질환, 신부전, 감염, 외상, 조절이

       되지 않는 당뇨병, 뇌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있는 경우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과 후에 메티마졸 투여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병발질환들은 각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 후 방사성요오드를

       투여해야 합니다.

       이 경우 베타차단제도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2) 용량 및 안전 관리

    ⑴ 방사선 요오드 치료 시에는 한 번에 충분한 용량(통상 10-15mCi)을

       투여하여 겁성선기능 저하증이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⑵ 방사성요오드 치료 48시간 전에 가임연령인 모든 여성에 대한

       임신진단검사를 시행합니다.

       임신은 원하면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하면서 4-6개월을 기다려서 안정적으로 정상

       갑상선기능 상태로 유지된 후까지 임신을 미루어야 합니다.

       남성은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3-4개월 미루어야 합니다.

       수유중인 여성은 3개월 이상 수유를 중단해야 합니다.

  3) 추적

    ⑴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후 1-2달 내에 갑상선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갑상선기능항진 상태라면 4-6주 간격으로 갑상선기능을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대부분 치료를 받은 후 4-8주내에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되고 임상증상이

       호전됩니다.

       갑상선호르몬 보충요법은 fT4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⑵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6개월에도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지속되는 경우

       또는 치료 후 3개월 후 에도 최소한의 반응이 나타날 때에는 방사성

       요오드를 한 번 더 투여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1.결핵의 재치료 3 김병광 2016.09.26 3976
18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Ⅲ. 결핵의 재치료 및 약재내성 결핵의 치료 3. 다제내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09.26 3612
18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Ⅱ. 결핵의 치료 2. 결핵의 치료원칙 3 김병광 2016.09.25 3467
18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Ⅰ. 결핵의 진단 3 김병광 2016.09.25 4171
18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18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18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4. 결핵 치료 중 부작용의 발생 시 대처방법 3 김병광 2016.09.25 4945
18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17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17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17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176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김병광 2015.04.11 9886
175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김병광 2015.04.10 8434
174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3 김병광 2015.04.09 9728
173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수술 김병광 2015.04.13 8840
»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김병광 2015.04.13 9773
171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2 김병광 2015.04.17 10565
170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1 김병광 2015.04.17 10345
169 기타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김병광 2011.12.10 19941
168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