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by 김병광 posted Apr 10,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갑상선중독증 증상의 조절

   갑상선중독증의 증상이 있는 노인이나 안정 시 심박수가 분당 90회를

   넘는 경우에는 베타차단제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베타차단제는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을 낮추고 근력저하, 떨림, 불안

   및 운동능력등을 호전시킴니다.

   베타차단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verapamil과 diltiazem 두 가지

   의 칼슙통로차단제를 경구투여 할 수 있습니다.

2.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법의 선택

   그레이브스병에 의한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는 항갑상선제, 방사성요

   오드, 갑상선절제술 중 선택하여 치료하여야 합니다.

  1) 적응증

    ⑴ 항갑상선제

      ① 관해 가능성이 높은 경우: 갑상선종이 작고, 경증의 갑상선기능

         항진증을 보이며 TSH수용항체가 없거나 역가가 낮은 여성환자

      ② 노인 또는 수술 위험도가 높거나 기대수면이 짧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③ 요양원 등 공동시설에 거주하여 방사선 안전 규칙을 지키기

         어려운 경우

      ④ 중간 정도 내지 중증의 안구증이 동반된 경우

      ⑤ 숙련된 외과의사가 없는 경우

    ⑵ 방사성 요오드 치료

      ① 향후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환자

         단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4-6개월이 지나고, 갑상선기능이

         정상인 상태에서 임신을 권유

      ② 수술 위험도가 높은 질환이 병발된 경우

      ③ 이전에 목 부위에 수술이나 방사선 조사 치료를 받은 경우

      ④ 숙련된 외과의사가 없는 경우

      ⑤ 항갑선 치료가 금기인 경우

    ⑶ 수술(갑상선 절제술)

      ① 압박증상이 있거나 80gm이상의 큰 갑상선종이 있는 경우

      ②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③ 갑상선암이 의심되거나(세포검사 결과가 갑상선암의심 또는

         미결정으로 나온 경우)확진된 경우

      ④ 큰결절(스캔상 냉결절)이 있는 경우

      ⑤ 수술적은증이 되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동반된 경우

      ⑥ 4-6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⑦ TSH수용항체의 역가가 매우 높은 경우

      ⑧ 중간정도 내지 중증의 안병증이 동반된 경우

  2) 금기

    ⑴ 항갑상선제

       항갑상선제에 대한 중대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⑵ 방사성요오드

      ① 임신, 수유중인 경우

      ② 갑상선암이 확진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③ 4-6개월 이내에 임신을 원하는 경우

      ④ 방사선 안전규칙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⑶ 수술

      ① 수술 위험도가 높은 질환 또는 기대수명이 짧은 질환이 동반된

         경우 - 심장 및 폐질환, 말기암 등

      ② 임신- 상대적 금기,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신속하게 치료할 필요

               가 있는 경우 또는 항갑상선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수술 고려, 임신 중후기(5-6개월)에 시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나 4.5-5.5%정도의 조기분만의 위험이 있습니다.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