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by 김병광 posted Apr 09,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생선되어

  갑상선중독증이 나타나는 상태이며, 갑상선 중독증의 흔한 원인 질환은

  그레이브스병(82.7%), 무통성갑상선염(13.3%), 아급성갑상선염(3.5%),

  중독성결절(0.5%)순입니다.

  그레이브스병은 TSH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미만성 갑상선종 및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초래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서

  안병증(ophthalmpophathy), 피부병증(dermophathy)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1.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1) 중등도의 평가

     특히 심혈관계, 신경근육계의 합병증이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평가하여야 합니다.

     특히 고령의 환자는 갑상선중독증의 증상 및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특히 심장기능의 평가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2) 혈액검사

     혈청TSH 와 유리 T4를 같이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갑상선호르몬 과잉의 상태를 평가할 때는 혈청 TSH가 더 예민합니다.

     ⑴ 현성 갑상선 기능항진증 - TSH는 측정한계치 이하로 억제되고

                               혈청유리 T4와 T3가 가 모두 증가됩니다.

     ⑵ 경미한 갑상선 항진증 - 유리T4는 정상이고, T3만 상승되며

        TSH는 억제되는데 이것을 T3-toxicisis라고 합니다.

        이것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초기 또는 자율기능성 갑상선결절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⑶ 불현성 갑상성기능 항진증 - TSH는 정상보다 낮으나 혈청T3,

        유리 T3, 유리 T4는 정상입니다.

  ☎ TSH를 분비하는 뇌하수체종양 또는 갑상선호르몬 저항증후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혈청TSH가 정상이면 환자는 정상 갑상선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① TSH가 정상이면서 총 T4치가 높은 경우를 euthyroid

          hyperthyroxinemia라고 하는데 이 경우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아니고 대개 T4에 결합하는단백의 농도 변화에 기인합니다.

          즉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의 유전적 변이, 임신 또는

          여성호르몬제 투여, 간염, 다양한 약물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고 T4에서 T3로 전환이 억제되는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더 이상 검사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② 그러나 euthyroidhypothyroxinemia가 아니라면 TSH에 의한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MRI검사에서 뇌하수체

          종양이 있고 TSH α-subunit가 증가되 있으면 TSH뇌하수체

          종양입니다.

       ③ 가족력이 있고 T3-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으면 갑상선

          호르몬 저항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3) 병인

     갑상선중독증의 임상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TSH수용체 검사를 시행하여

     그레이브스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TSH수용항체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갑상선 섭취률 검사나

     갑상선 스캔을 이용하여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초음파검사(Doppler검사)도 감별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대한 갑상선학회 합의안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