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장로회 정치의 근본원리와 성경적 근거

  1) 장노회 정치의 5대 원리

    ⑴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요 모든 권위의 원천이십니다.

       (엡 1:22,23; 4:15; 골 1:18; 2:10; 마 28:18)

     -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머리되시며 권위의 원천이신 사실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직접 세우신 것이며(마 16:18),

       그 안에 은혜의 수단, 곧 말씀과 성례를 제정하신

       (마 28:19,20; 막 16:15,16; 눅 22:17,20; 고전 11:23-29)점에도

       분명합니다.

    ⑵ 그리스도는 말씀과 성령으로 권위를 행사하십니다.

       성령으로 마음을 감화시켜 그 말씀을 받아 순종케 하심으로 권위를

       행사하십니다.

       즉 말씀을 통하여 자신의 죄를 깨닫고 돌이키는 데서부터 시작하여

       대속해 주신 그리스도의 한없는 사랑에 감사하여 순종하고 헌신하는

       결과입니다.

    ⑶ 그리스도는 이 권세를 교회에 주셨습니다.

       교회의 어떤 자에게 권세를 주셨는지에 대하여 세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① 로마교회와 감독정치제(성공회)의 견해

          그리스도께서 그 권세를 교황이나 특별한 성직단원들에게 

          주셨다고 주장합니다.

       ② 회중정치제의 견해

          모든 교회 회원에게 이 권세를 주었다고 주장합니다.

          교회의 직원은 다만 전체 회원의 권세를 실천하는 기관에 불과한

          것으로 봅니다.

       ③ 장노회 정치제의 견해

          교회의 권세는 일반회원들의 권세를 수행하는 단순한 기관도 

          아니고 또 그들로부터 위임받은 권세를 대행하는 것도 아닙니다.

          비록 일반회원들에 의하여 선출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직원의 

          권세는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받은 것입니다.

          그러나 로마교회나 감독정치에서 보는 것처럼 직원들만

          이 권세를 받은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⑷ 그리스도는 이 권세를 직원들에게 특별히 더 주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 권세를 교회의 전 회원에게 위임하셨으나

       교리, 예배, 권징 등을 위하여 필요한 만큼의 권세를 직원들에게

       특별히 더 위임하셨습니다.

       그러나 로마교회나 감독정치 형태처럼 전횡적인 것이 아니고

       대표적 기관으로서의 직원들은 교회의 중요한 문제에 대하여서는

       전 회원들이 참여하는 공동의회와 같은 회의를 거쳐 얻어진 결론

       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장로회 정치에서는 직원들과 일반회원들의 양쪽 의사가 전부

       반영되는 가운데 아름다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⑸ 교회의 권세는 기본적으로 지교회에 있습니다.

       지교회는 한 종파안에서 다른 지교회들과 연합된 결과로 자치권의

       일정한 제약을 받게 되지만

       교회의 기본적인 권세는 상회에 두지 않고 지교회의 치리회에 둡니

       다.

  2) 장로회 정치의 성경적 근거

     ⑴ 성경에는 “장로”라는 직책이 있다.

        신약에서 약 60회 구약에서 약 100회 나타납니다.

     ⑵ “감독”은 “장로”의 다른 명칭에 불과하다.

        사도바울은 (행 20:17)에서에서는 장로로, (행 20:28)에서는

        감독으로 불렀으며 (딛 1:5)에서는 장로로, (딛 1:7)에서는 

        감독으로 칭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장로회 정치가 아닌 감독정치 형태가 따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⑶ 장로는 회원들이 선출하였다.

        “각 교회에서 장로들을 택하여”(행 14:23)

     ⑷ 장로로 치리 장로와 말씀과 치리를 겸한 장로로 구분되었다.

        딛전5:17에서 말씀과 가르치는 일에 수고하는 이들도 장로이며

        베드로 사도도 장로입니다.(벧전 5:1참조)

     ⑸ 장로의 회가 존재하였습니다.

        딛전 4:14에서 장로의 회는 오늘날 노회와 동일한 명칭이며 오늘날

        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는 것과 일치하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⑹ 장로들로 구성된 큰 회의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사도행전 15장에서 안디오교회에서 일어난 문제로 예루살렘 회의에

        상고하였습니다.

        그 회의의 구성원은 사도와 장로들(행 15:6)이며,

        지교회가 독립적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상회로부터 교리상의

        문제나 기타의 것들에 대하여 지시와 인도를 받았음을 보여 줍니

        다.

                                    


                                                                        출처: 교의신학. 하문호


의료보건팀 사랑방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사랑방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성경 - 성경의 속성 1 김병광 2013.12.13 7154
63 믿음방 교의신학 5권 구원론: 구원서정론 - 루터파의 구원서정 교리 김병광 2014.05.02 7171
62 믿음방 교의신학 5권 구원론: 구원서정론 - 알미니안주의의 구원서정 교리 김병광 2014.05.08 7207
61 믿음방 교의신학 5권 구원론: 각론 - 소명 김병광 2014.05.30 7246
60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의 객관적 요소 - 일반계시 김병광 2013.12.09 7255
59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창조 시 인간의 상태: 행위언약하의 인간 김병광 2014.01.10 7277
58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심판 김병광 2014.09.02 7284
57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범죄 후의 인간 상태: 죄의 기원 김병광 2014.01.14 7287
56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에 대한 정의 kimsmd 2013.12.23 7293
55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창조 시 인간의 상태: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김병광 2014.01.10 7299
54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서론: 하나님은 알 수 있는가? 김병광 2013.12.20 7313
53 생활습관병이란? 김병광 2011.05.02 7323
52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신학이란 무엇인가? 김병광 2013.12.06 7323
51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란 무엇인가? 김병광 2013.12.06 7430
50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섭리 - 섭리개관 김병광 2013.12.31 7473
49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의 객관적 요소 - 계시 김병광 2013.12.09 7537
48 믿음방 교의신학 5권 구원론: 구원서정론 - 기본적인 서정과 유동적인 서정 김병광 2014.05.20 7554
47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상태 김병광 2014.09.02 7604
46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정리 김병광 2014.09.03 7611
45 믿음방 교의신학 4권 기독론 - 그리스도의 존재: 그리스도의 신분 1. 낮아진 신분 김병광 2014.02.14 76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