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9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Ⅸ. 영화

    성경에는 신자들이 구원을 말할 때

      이미 성취된 사건으로 말하고,

      현재 진행 중인 사건으로도 말하고,

      미래에 완성 될 사건으로도 말하고 있습니다.

    중생과 칭의에서 이미 구원을 보장받았기 때문에 성취된 사건으로 간주

    되며,성화에서 구원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현재적인 것으로 말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죄와 그 결과로부터 완전 해방되는 때에 구원이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니, 우리의 영혼과 육체가 죄 및 그 결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완전 성결의 자리에 이르고 참 행복의 상태에 이르는 단계가

    곧 영화입니다.

 1. 영화의 개념

    영화란 신자가 죄의 세력에서 완전 해방되어 하나님의 영광에 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1) 좁은 의미의 영화

      존 머레이 교수는 성도의 영화를 부활로 보았습니다.

   2) 넓은 의미의 영화

      성도가 죽을 때 영혼의 영화와,

      부활 때 육체의 영화로 나뉘는데

      헤르만 카이퍼는 성도가 죽을 때 그 영혼이 죄악에서 완전히 벗어나

      천국에 이르게 되는 것도 영화로 보았습니다.

 2. 영화의 시기

   1) 영혼의 영화 시기

      성도의 영혼은 육체적 사망과 동시에 천국으로 직접 들어가 영화의

      자리에 이릅니다.

     ⑴ 영화는 중생과 마찬가지로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지는 즉각적인

        변화입니다.(눅 23:43)

        중생은 성화의 출발점이요, 영화는 성화의 도착점이라고 할 수

        있으니, 출발점과 도착점은 일정기간이 아니고 한 순간인 것입니

        다.

     ⑵ 영화는 하나님의 사역입니다.

        성도가 임종 시에 즉각적으로 완전 성화되는 것은,

        성령이 역사하시어 그들의 영혼으로부터 모든 죄악과 그 성향을

        완전히 뿌리 뽑아 주시는 하나님의 역사입니다.

   2) 육제적 영화의 시기는 부활의 때입니다.

      고전 15:51-53에서 육체의 영화에 대하여 몇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⑴ 육제의 영화는 부활의 때에 이루어집니다.(살전 4:16)

     ⑵ 죽은 자가 영화됩니다.(마 27:52; 요 11:43-44)

     ⑶ 살아 있는 자도 영화됩니다.

     ⑷ 영화의 상태는 그리스도와 유사할 것입니다.(빌 3:20; 요일 3:2)

     ⑸ 영화는 즉각적인 변화입니다.(고전 15:51)

 3. 영화와 관련된 사건들

   1) 영화는 그리스도의 재림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자들의 위한 영화는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재림 없이는 무의미한

      것입니다.(벧전 4:13)

   2) 영화는 피조물의 새롭게 하심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썩어짐의 종노릇에서 해방되는 것은 신자만이 아니라 피조물 그

      자체도 마찬가지입니다.(롬 8:21)

      우리가 영화를 생각할 때 우리만 받는 좁은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새로운 우주, 곧 새 하늘과 새 땅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소망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물질적 우주,

      곧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계도 해방될 것이며 그 해방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구원의 완성과 때를 같이 할 것입니다.

      즉 영화는 전 우주적인 복을 가진 것입니다.

       (벧 후 3:13; 고전 15:24,28)

                                              

                                                           출처: 교의신학. 하문호


의료보건팀 사랑방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사랑방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속성 1 김병광 2013.12.23 13642
123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개인적 내세론 - 중간기 상태 김병광 2014.08.22 12526
122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일반적 고찰: 인간영혼의 기원 김병광 2014.01.09 11391
121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말씀 김병광 2014.07.16 10910
120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속성 2 김병광 2013.12.23 10865
119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천년왕국론 김병광 2014.08.30 10614
118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계획 - 작정 김병광 2013.12.27 10441
117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섭리 - 섭리의 요소들과 섭리의 종류 김병광 2014.01.02 10386
116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의 개념 김병광 2014.08.12 10363
115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범죄 후의 인간 상태: 죄의 개념 김병광 2014.01.13 10110
114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은혜언약 하의 인간: 은혜언약 김병광 2014.01.22 10083
113 믿음방 교의신학 4권 기독론 - 그리스도의 존재: 그리스도의 인격의 단일성 김병광 2014.02.05 9977
112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은혜언약 하의 인간: 구속언약 김병광 2014.01.21 9815
111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성찬 김병광 2014.07.19 9741
110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 연구의 의의와 방법 김병광 2014.08.13 9627
109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성례개관 김병광 2014.07.17 9416
108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세례 김병광 2014.07.18 9318
107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서론: 하나님은 존재하는가? 김병광 2013.12.20 9046
106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정리 김병광 2014.01.03 9038
105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성경 - 성경의 영감 2 김병광 2013.12.12 89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