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5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Ⅳ. 회심(신앙과 회개)

    회심이란 세상과 죄악을 향하여 살던 옛 생활에서 돌이켜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고자 하는 방향 전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회심의 두 가지 요소는

      ① 하나는 회개로 죄로부터 돌이키는 일이며

      ② 둘째는 신앙으로 하나님께로 향하는 일입니다.

    신앙과 회개는 두 개의 별다른 변화가 아니라 한 변화의 양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죄인이 돌이키는 하나의 동작을 죄의 면에서 보면 회개고,

    하나님께로 향하는 면에서 보면 신앙인 것입니다.

    회개는 과거의 생활과 관련이 있는 것이고, 

    신앙은 앞으로의 생활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회심(回心)

   1) 회심의 분류

     ⑴ 국민적 회심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의 진노를 경험한 후에 단체적으로

        범국민적 차원에서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이켰습니다.

          (삼상 7:6; 느 8:8,9; 욘 3:10)

        범국민적 회심은 침된 구원적 회심을 가져오는 사람도 있지만 

        전 국민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리하여 국민적 회심 후에도 곧 잘 죄악의 길로다시 나아갑니다.

     ⑵ 일시적 회심

        일시적 회심으로 끝나는 사람은 구원서정으로 볼 때 

        외적 소명만 받고 중생하지 못한 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 13:20, 21; 딤전: 1:19, 20; 딤후 2:17; 4:10; 히 6:4-6)

     ⑶ 진정한 회심

        진정한 회심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에서 나오며 

        하나님께 헌신하는 생활을 하게 합니다.(고후 7:10)

        이 회심은 내적 소명과 중생에 근거를 두고 성령의 역사로 

        인간의 의식 가운데 이루어지는 변화입니다.

        이 회심은 두 가지 면이 있습니다.

          ① 능동적인 면: 하나님의 능동적인 역사, 곧 성령의 역사에 

             의한 것입니다.

          ② 수동적인 면: 성령의 역사로 죄인이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결과적, 의식적 행위입니다.

         이 회심은 나아만의 회심(왕하 5:15) 

                   삭게오의 회심(눅 19:8, 9),

                   바울의 회심(행 9:5)입니다.

      ⑷ 반복적 회심

         회심은 불신자가 신자가 되는 변화이므로 평생 한 번밖에 없습니

         다.

         그러나 신자가 된 후에도 때로는 범죄의 자리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 자리에서 수시로 돌이키는 일이 반복적인 회심입니다. 

         신자는 이미 목욕한 자이지만 발은 매일 씻어야 합니다.

        (요 13:10)

   2) 회심의 특징

     ⑴ 하나님의 재창조적 역사입니다..

        회심은 심령의 내적 상태의 변화를 가져와 새 생명의 씨가 싹터서

        자라게하는 재 창조적역사입니다.

     ⑵ 중생은 잠재의식 속에서(하나님의 단독사역) 이루어지는 변화인데,

        회심은 의식 가운데(하나님과 인간의 협력) 이루어지는 변화입니

        다.

     ⑶ 생활변화의 전환이다.

        회심 전이나 후에도 범죄의 자리에 떨어지지만, 

        다른 점은 전과에는 생활방향이 죄악에 향해있고 후에는 

        하나님의 뜻과 말씀을 향하게 됩니다.

        때러 연약하여 범죄해도 그 죄를 회개하게 됩니다.

     ⑷ 단회적 회심과 반복적 회심

        회심은 불신자에서 신앙으로 옮겨지는 변화이므로 단회적입니다.

        그러나 신자도 때로는 범죄의 자리에 떨어져 신앙이 내려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회개하여 더 주님에게 가까이 가는 일이 반복

        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넓은 의미의 회심이라면 반복

        적 회심이라 할 것입니다.

     ⑸ 율법적 회심과 복음적인 회심

        회개는 율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신앙은 복음을 통하여 이루어짐

        니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 양심의 공포와 형벌이 두려워서 즉 율법적인

        면이 더 큰 동기가 되어 회심에 이르는 자가 있고,

        반대로 복음의 진리에 감화되어 회심에 이르기도 합니다.


 2. 회개

   1) 회개의 정의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자기의 죄를 깨닫고 슬퍼하며

      그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입니다.

   2) 회개의 3가지 요소

     ⑴ 지성적 요소는 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서 죄의 깨달음입니다.

         (롬 3:20)

     ⑵ 감정적 요소는 죄에 대한 감정의 변화로 죄를 슬퍼하며 

        악을 미워하는 것 입니다.(잠 8:13)

     ⑶ 의지적 요소는 죄에서 돌이켜 주의 법을 진심으로 지키려고

        결심하는 것입니다.(시 119:34)

   3) 로마교회의 회개의 요소

     ⑴ 덕으로서의 고해란 죄로 인한 근심, 죄를 버리려는 결심, 

        하나님께 만족을 드리려는 목적으로 구성됩니다.

     ⑵ 성례로서의 고해(고해성사)

        세례 받은 후에 죄를 용서받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규례이며 재판권을 가진 신부의 용서를 통해서 실행됩니다.

        ① 통회(痛悔, Controtion))는 죄에 대한 진정한 비애를 뜻하는

           것으로 자범죄에 대한 근심만 포함되며 죄에 대한 뉘우침만으로

           도 만족합니다.

        ② 고명(告明, Confession)는 죄를 신부에게 고백하는 것을 말합

           니다.

           죽음에 이르는 모든 죄는 다 고명되어야 하고 고명되지 않는 

           죄는 사해지지 않습니다.

        ③ 보속(補贖, Satisfaction)

           보속은 죄를 행동에 의하여 회개를 뜻합니다. 즉 죄에 대한 

           대가로 어떤 고행이나 불유쾌한 일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⑶ 고해성사에 대한 잘못은

        ① 로마교회의 고명의 근거는 마 16:18, 19; 18:15-18에서 

           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 18:15-18은 교회는 회개하지 않는 개인에게 회개

           촉구하고, 그래도 듣지 않으면 재판권을 가지고 정죄할 수 있다

           는 것 입니다.

           사죄권은 오직 하나님만 있는 것입니다.(눅 5:21; 7:48, 49)

        ② 회개란 내면적, 정신적인 요소가 핵심이며 그 형식에 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로마교회는 회개를 신부 앞에서의 고명이라는 형식을 

           만들어 외형적 제도적인 것으로 변질 되었습니다.

        ③ 신부에게 죄를 고백할 것을 의무화함으로써 고백이 시험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자가 독신 신부 앞에 그들 마음속 깊게있는 욕망을 

           털어놓으므로서 불미스러운 결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신앙

   1) 신앙의 정의

      죄를 회개하는 자가 자기 죄 아래에 있는 자신의 비참한 모습을 

      깨닫고 구원의 은혜를 갈망하여 예수님께 나오는 것입니다.

   2) 신앙의 종류

     ⑴ 역사적인 신앙은 성경을 단지 역사적 사실로만 알고 말씀으로

        심령의 변화를 받지 못하는 신앙을 말합니다.(마 7:26; 약 2:19)

     ⑵ 이적적 신앙은 이적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믿는 신앙, 

        이 신앙은 구원적 신앙이 아닐 수 있습니다.(마 7:22, 23; 24:24)

        이적적 신앙으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 능동적 의미에서의 이적적 신앙

             이것은 자기를 통하여 이적이 일어날 것을 믿는 신앙입니다.

             (마 17:20; 막 16:17, 18)

          ② 수동적 의미에서의 이적적 신앙

             이것은 자기에게 이적이 일어날 것을 믿는 신앙입니다.

             백부장(마 8:5-13)과 마르다(요 11:22)의 신앙입니다.

     ⑶ 일시적 신앙은 일시적으로 믿는 것 같으나 결국 열매를 맺지 

        못하고 타락하는 신앙을 말합니다. (마 13:20-22; 딤전 1:19)

     ⑷ 참된 구원적 신앙은 중생되어 말씀을 통하여 화개하고

        예수님 앞에 나와 지,정,의의 근본적 변화로 새사람이 되는

        신앙을 말합니다.(골 3:9, 10)

   3) 신앙의 요소

      신앙이라 지.정.의를 포함한 전인격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⑴ 지적요소(지식)는 성경의 구원 진리를 깨닫는 것입니다.

        ⑵ 감정적 요소(찬동)는 깨달은 결과 주님을 사랑하고 

           감사하게 됩니다.

        ⑶ 의지적 요소(신뢰)는 그 말씀 따라 살며 주를 위해 

           헌신하기를 결심합니다.

   4) 로마교회의 신앙 요소

      로마교회는 신앙을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⑴ 표명적 신앙(explicity faith)과 묵종적 신앙(Implicity faith)

       - 표명적 신앙이란 그 가르침에 대하여 이해와 지식이 포함되는

         신앙이며,

       - 묵종적 신앙이란 교회가 가르치는 바를 무엇인지 알지 못하되

         그것을 맹종하는 찬동뿐인 신앙입니다.

      ⑵ 비 형성적 신앙과 형성적 신앙

       - 비 형성적 신앙이란 선행이 수반되지 않은 신앙이며 공로 없는

         찬동 뿐이며,

      - 형성적 신앙이란 선행이 수반되는 신앙으로 참으로 칭의되어 

        구원받는 신앙입니다.

        로마교회는 신앙의 요소로 요구되는 것은 묵종적, 형상적 신앙입니

         다.

   5) 신앙의 대상

      믿는 내용이 무엇일까? 이것은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⑴ 넓은 의미의 신앙의 대상은 하나님의 말씀이 포함된 계시 전체라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서 명백히 가르친 것과 그것에서 정당히

         추론될 수 있는 모든 것이 다 넓은 의미의 신앙의 대상입니다.

      ⑵ 좁은 의미의 신앙의 대상은 예수그리스도와 그 안에 주어진 

         구원의 약속입니다. 

         구원적 신앙의 특수 행위는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데 있으며

         또한 복음에 기록된 대로 그에게 안식하는데 있는 것입니다.

           (요 3:15,16,18; 6:40)

   6) 신앙과 확신의 문제

      참된 구원적 신앙은 구원을 받았다는 확신을 항상 수반하느냐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개혁파는 두 가지 견해로 갈라집니다.  

        ① 확신이 신앙의 본질이라는 설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먄 바빙크, 케할더스 보스와 같은 

           화란 신학자들은 확신이 신앙에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② 확신은 신앙의 열매라는 설

           믿음으로 칭의 된다고 할 때, 그 구원적 신앙은 자기가 

           구원받았다는 확신을 가지기 이전에 회개하고 주님을 

           영접함으로써 이미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봅니다.

           죄인인 여인이 죄사함 받고 구원받았다고 주님이 선포하기 

           전에 그 여인은 구원의 확신이 있었다고 판단되지 않으며

             (눅 7:36-50),

           세리가 가슴을 치고 통곡하며 내려갔을 때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내려갔다고 판단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이 세리가 바리세인보다 더 의롭다함을 받고 

           내려갔다고 하셨습니다.(누 18:9-14)

           따라서 확신은 신앙의 본질이 아니요 신앙의 열매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교의신학. 하문호


의료보건팀 사랑방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사랑방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황사 바로알고 대처하기 김병광 2011.05.02 5768
123 자유방 행복이란 虛虛 2013.11.05 6119
122 자유방 짭짤이 토마토 虛虛 2016.05.28 4147
121 작은 방을 열면서... 김병광 2011.05.02 5537
120 이제부터 자료는 문서 게시판 올립니다 김병광 2011.05.02 5432
119 위암 예방법 김병광 2011.05.02 5755
118 원전 방사능 노출시 요오드제품의 사용 김병광 2011.05.02 5849
117 어렵게 부탁하여 올리게 된 원고입니다.(안사랑 성도의 간증<안목사님 딸>) 김병광 2011.05.02 5810
116 자유방 수호령들 虛虛 2016.06.05 3744
115 생활습관병이란? 김병광 2011.05.02 7328
114 믿음방 방장의 공지사항입니다. 김병광 2013.12.05 6532
113 낙원을 꿈꾸다(헌시(獻詩). 김덕규 장노님) 김병광 2011.05.02 5822
112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정리 김병광 2014.09.03 7612
111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심판 김병광 2014.09.02 7284
110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상태 김병광 2014.09.02 7604
109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천년왕국론 김병광 2014.08.30 10614
108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죽은자의 부활 김병광 2014.09.01 8585
107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그리스도의 재림 김병광 2014.08.26 7673
106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의 개념 김병광 2014.08.12 10363
105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 연구의 의의와 방법 김병광 2014.08.13 96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