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5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속죄의 원인과 필요

  1) 속죄의 원인

    ⑴ 제1차적인 원인 - 사랑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

       (요 3:16; 롬 5:8; 8:32; 요일 4:9-10)

    ⑵ 궁극적인 원인 - 기쁘신 뜻

       우리를 사랑하셨기 때문이 그리스도를 속죄의 제물로 주셨지만은

       그 사랑은 영원 전에 세워진 하나님의 기쁘신 뜻,

       즉 예정에 기초한 사랑입니다. (엡 1:4-5; 롬 8:29)

  2) 속죄의 필요

     구원을 위하여 속죄가 필요한 것인가는 세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⑴ 불필요성

       중세기 둔스 스코트(Duns Scotus, 1308년 사망)은

         그리스도의 속죄는 고유적으로 필요치 않았으나 하나님께서

         자기의 뜻에 따라 그렇게 결정하신 것이라느 것 입니다.

       종교개혁시대의 소너시스(Sosinus)도

         하나님에게 죄에 대하여 형벌을 반드시 요구하시는 공의가 있음을

         부정함으로써 속죄이 필요성을 부정하였습니다.

       근대의 슐라이어막허와 릿츌 등이 그리스도의 희생에 대하여

         도덕적 감화설을 취함으로써 속죄의 필요성을 부정하였습니다.

    ⑵ 상대적 혹은 가설의 필요성

       이 견해는 하나님이 속죄나 공의의 만족없이 죄를 용서할실 수 있었

       고 피택자를 구원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즉 모든 것이 가능한 그분에게는 구원의 다른 방법도 있었다는 것입

       니다.

       그러나 성자의 대리적 속죄는 최대 다수에게 유익을 끼칠 수 있으며

       은혜가 더욱 놀랍게 나타날 수 있는 구원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즉 인간의 구원을 위해서는 다른방법이 있으나 그리스도의 속죄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아다나시우스(Athanasius). 어거스틴(Augustine), 토마스 아퀴나스

       (Tomas Aquinas) 등이 주장하였습니다.

    ⑶ 절대 혹은 결과적 필요론

       하나님께서 범죄한 인간을 구원할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자유로운 뜻에 달린것이지만

       일단 하나님께서 그 죄인을 구원하기로 결정하신 후 에 그들을

       구원하신 방법에서는 그리스도의 속죄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이 이 이론입니다.

      “결과적”이란 죄인을 구원하시기로 결정하신 결과를 의미하며

      “절대적”이란 말은 그 결정 후에 구원의 방법을 택함에 있어

        다른 길이 없다는 것입니다.

    ⑷ 결론적으로 절대적 혹은 결과적 필요론이 타당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하나님의 공의의 요구

           하나님의 공의의 요구는 절대적입니다.

           성경에서 하나님은 유죄자를 결코 사하지 않으신다고 반복하고

           있습니다.

           죄는 반드시 처벌되어야 하고 죄인의 구원은 반드시

           그 죄의 값이 어떤 형태로든 지불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출 34:7; 나 1:3; 시 5:5-6; 롬 1:18)

        ② 그리스도의 제사직의 독특성

           죄인의 죄 값을 완전히 대신 지불할 방법은

           그리스도의 속죄라는 방법 외에는 다른 길이 없습니다.

        그리스도의 죄사직의 독특성은

           ⓐ 그리스도는 유일한 참제사장이며

           ⓑ 그리스도의 제사만이 죄를 참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그리스도만이 하나님과 인간의 화목을 이루실 수 있으며

           ⓓ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하나님의

              사랑이 백성에게 전달 될 수 있으며

           ⓔ 구약의 제사장은 참 제사장인 그리스도의 모형에

              불과하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이 그리스도밖에 인간의 죄 값을 대신 지불할

           다른 분이 없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죄를 대신 짊어지기 위해서는 속죄자는 인간이어야 하고,

           모든 사람의 죄 값을 단번에 지불하기 위해서는

           그가 하나님이어야 합니다.

 

 

                            

                                                                 출처: 교의신학. 하문호


의료보건팀 사랑방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사랑방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개인적 내세론 - 영생 김병광 2014.08.15 7747
83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정리 김병광 2014.08.11 7744
82 믿음방 교의신학 4권 기독론 - 그리스도의 존재: 그리스도의 이성(二性)과 인격에 대한 교리 고찰 김병광 2014.01.28 7741
81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그리스도의 재림 김병광 2014.08.26 7673
80 믿음방 교의신학 4권 기독론 - 그리스도의 존재: 그리스도의 신분 1. 낮아진 신분 김병광 2014.02.14 7625
79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정리 김병광 2014.09.03 7612
78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상태 김병광 2014.09.02 7604
77 믿음방 교의신학 5권 구원론: 구원서정론 - 기본적인 서정과 유동적인 서정 김병광 2014.05.20 7554
76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의 객관적 요소 - 계시 김병광 2013.12.09 7537
75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섭리 - 섭리개관 김병광 2013.12.31 7473
74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란 무엇인가? 김병광 2013.12.06 7430
73 생활습관병이란? 김병광 2011.05.02 7328
72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신학이란 무엇인가? 김병광 2013.12.06 7323
71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서론: 하나님은 알 수 있는가? 김병광 2013.12.20 7313
70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창조 시 인간의 상태: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김병광 2014.01.10 7299
69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에 대한 정의 kimsmd 2013.12.23 7293
68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범죄 후의 인간 상태: 죄의 기원 김병광 2014.01.14 7287
67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최후의 심판 김병광 2014.09.02 7284
66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창조 시 인간의 상태: 행위언약하의 인간 김병광 2014.01.10 7277
65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종교의 객관적 요소 - 일반계시 김병광 2013.12.09 72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