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2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 고혈압의 치료

   고혈압의 치료 목표는

    ① 혈압을 조절하여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 것입니다.

    ② 심혈관이 이미 발생한 환자는 혈압을 조절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

       하고 재발을 막음으로써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수축기 혈압을 10-20mmhg 정도, 이완기혈압을 5-10mmHg 낮추면

   뇌졸중을 30-40%, 허혈성 심장병은 15-20%로 감소합니다.

  1) 고혈압 치료계획

    처음 고혈압이 높게 나오면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가급적 진료실

       이외혈압(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혈압 등)을 재어 고혈압의 유무를  

       정확히 진단하여야 합니다.

       진료실 밖에서의 혈압측정은 고혈압을 정확히 진단하는되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고혈압 치료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또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를 높입니다.

    ② 고혈압이 진단되면

       - 심혈관 위험인자

       - 동반질환

       - 고혈압 합병증 유무를 조사해야 합니다.

 

     그림 1. 고혈압 치료계획

                 혈압측정, 병력청취, 신체검사, 기본검사

              ↙               ↓

   이차성고혈압         가정혈압 또는           백의 고혈압 또는

       의심     →     24시간 활동혈압    →    일시적 고혈압

       ↓        ↘           ↓             ↙        ↓

이차성고혈압 확진     위험인자, 무증상장기손상          ↓

       ↓             심혈관질환, 합병증평가           ↓

       ↓             ↙      ↓         ↘           ↓

       ↓        저위험군  중등도위험군  고위험군      ↓

       ↓             ↘    ↙             ↓         ↓

    원인에         생활요법 또는       생활요법과    추적관찰

   따른 치료       약물치료 시작       약물치료시작  

 

  2) 고혈압 치료의 시작

   ⑴ 2기 고혈압 전단계

      혈압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은 115/75mmHg에서

      수축기혈압이 20mmHg, 확장기혈압이 10mmHg씩 증가함에 따라 2배씩

      계속 증가합니다. 따라서 120/80mmHg이상인 경우 고혈압의 발생과

      심혈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약물치료를 시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⑵ 1기 고혈압

      다른 위험인자가 없는 1기 고혈압은 저위험군이어서 치료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전체 위험

      도가 증가하여 가역적인 치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진료실 밖에서 혈압 측정을 시행하여 백의 고혈압 유무를 확인 후

      약물치료를 권합니다.

      고위험 1기 고혈압 환자에서는 바로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⑶ 2기 고혈압

      대부분의 무작위 임상연구에서 160/100mmHg 혈압환자군에서 약물치료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므로 생활요법과 함께 바로 약물치료를 권합니

      다.

   ⑷ 노인 고혈압

      나이와 상관없이 고혈압의 약물치료 효과는 뚜렷합니다.

      노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60mmHg이 멈으면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140-159mmHg인 경우에는 약물치료에 작 적응하면 지속적인 약물치료

      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고혈압 치료의 목표혈압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목표혈압은 수축기 14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90mmHg미만입니다.

   ⑴ 노인고혈압

      노인 고혈압에서는 혈압강하의 효과가 뚜렷하지만 140mmHg미만으로

      낮추기가 쉽지 않고 또 목표혈압이 140mmHg미만일 때와 150mmHg미만

      일 때 예후의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확장기 혈압이 너무 떨어지지 않은수준(적어도 60mmHg이상)

      에서 수축기 혈압 140 -150mmHg을 목표로 치료합니다.

   ⑵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

      수축기 혈압을 140mmHg미만으로, 확장기 혈압은 85mmHg미만으로 조절

      합니다.

   ⑶ 뇌졸중을 동반한 고혈압

      수축기 혈압 조절목표를 140mmHg미만으로 권고합니다.

   ⑷ 관상동맥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수축기 혈압 목표를 140mmHg마만으로 권고합니다.

   ⑸ 만성콩팥병을 동반한 고혈압

      당뇨병 유무와 상관없이 만성콩팥병을 동반한 고혈압환자는

      수축기 혈압 140mmHg미만으로 권고합니다.

      단 알부민뇨가 뚜렷한 고혈압이라면 130mmHg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⑹ 치료혈압의 하한치

      혈압이 높을수록 심혈관 위험도가 증가하고 또 어느 수준까지는

      혈압감소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줄어듭니다.

      J곡선가설( 혈압을 지나치게 낮추면 오히려 심혈관 사건 및 사망률이

      더 증가한다는 가설)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또 너무 낮을 때 병태생리

      학적인 불이익이 생길 개연성이 있으므로 혈압을 지나치게 낮출 필요

      는 없습니다.


 * 2016년 권고 추가 내용

  목표혈압 - 심혈관질화느이 기왕력이 있는 50세 이상의 고위험군 고혈압의 환자

  의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140mmHg보다 더 낮게 철저히 혈압을

  조절할 것을 고려합니다.


 표 11. 위험도에 따른 고혈압 약물치료

혈압(mmHg)

2기고혈압전단계130-139/85-89

1기고혈압

140-159/90-99

2기고혈압

≥ 160/100

위험인자 0개

생활요법

생활요법* 또는

약물치료

생활요법 또는

약물치료**

당뇨병 이외의

위험인자 1-2개

생활요법

생활요법* 또는

약물치료

생활요법과

약물치료

위험인자3개이상, 무증상 장기손상

생활요법

생활요법과

약물치료

생활요법과

약물치료

당뇨병,심혈관질환, 만성콩팥병

생활요법 또는

약물치료#

생활요법과

약물치료

생활요법과

약물치료

 * : 생활요법의 기간은 수주에서 3개월 이내로 실시합니다.

 **: 혈압의 높이를 고려하여 즉시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 설정된 목표혈압에 따라 약물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김병광 2016.09.30 4052
16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16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1. 소아 및 청소년 결핵의 특징 김병광 2016.10.03 2962
16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16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16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3. 소아청소년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6.10.04 3751
16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아청소년 결핵 4. 소아청소년 잠복결핵감염 김병광 2016.10.05 4282
16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15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15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15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15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155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15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153 기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김병광 2016.10.08 4990
152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151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150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14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148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