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 고혈압의 위험도

   10년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최저위험군 - 5% 미만,  저위험군 - 5-10%,  중위험군 - 10-15%     

     고위험군 - 15%(20%이상의 최고위험군을 포함합니다)

표 9. 심혈관 위험도 분류

혈압(mmHg)

2기고혈압전단계

130-139/85-89

1기 고혈압

140-159/90-99

2기 고혈압

≥ 160/100

위험인자 0

최저위험군

저위험군

중위험 또는

고위험군

당뇨병 이외의

위험인자1-2개

저위험 또는

중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위험인자3개이상

무증상장기손상

중위험군 또는

고위험군

고위험군

고위험군

당뇨병,심혈관질환만성콩팥병

고위험군

고위험군

고위험군

 

7) 이차성고혈압의 증상 및 선별검사

   이차성 고혈압은 전체의 고혈압의 5% 정도로 유병률이 낮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행합니다.

     ① 나이, 병력, 신체진찰, 고혈압의 중등도나 기본검사실 검사상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될 때

     ② 혈압이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을 때

     ③ 잘 조절되던 혈압이 뚜렷한 이유없이 상승할 때

     ④ 고혈압이 갑자기 발생할 때 등입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수술이나 약물요법으로 완치가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

    다.

표 10. 이차성 고혈압의 임상적 적응증 및 진단

임상적 적응증

진단

원인

과거력

신체진찰

생화학적검사

초기검사

추가검사

콩팥

실질병

요로감염 or 요로폐쇄의 기왕력, 진통제 남용, 다낭콩팥병의 가족력

복부종괴(다낭콩팥병)

소변내 단백질, 적혈구 및 백혈구, 사구체여과율 감소

콩팥초음파

콩팥질환에 대한 세부정밀검사

콩팥동

맥협착

섬유근육형성 이상/

고혈압의 조기발현(여성)

죽상동맥경화/

갑자기 발병, 악화 및 치료저항성/

반복적인 폐부종

복부잡음

양측콩팥크기차이>1.5cm, 신기능의 빠른 악화(자발적 또는 레닌안지오텐신계억제제 투여 후)

Duplex 도플러 콩팥초음파,

컴프터단층촬영

자기공명혈관조영,

동맥 내의

계수형 감산

혈관조영

원발알도스테론증

근력저하

고혈압 조기 발병과 40세 이하의 연령에서 뇌혈관질환발생의 가족력

부정맥

(매우심한 저칼륨혈증인 경우)

저칼륨혈증(자발적 또는 이뇨제유발)/

우연히 발견된 부신종괴

알도스테론-레닌활성도 비(저칼륨혈증교정과 레닌-안지오텐신계 억제제 효과 소실 후)

확진검사(경구나트륨 부하,식염수 주입, fludrocorti-soned억제, captopril test)/

부신CT/

부신정맥혈 채취

크롬친화세포종

발작적인 고혈압 또는 지속적인고혈압에 합병된 응급상황/

두통, 발한, 창백/

크롬친화세포종의 가족력

신경섬유종증의 피부병변(Cafe'-au-lait반점, 신경섬유종)

우연히 발견 되는 부신종괴(일부에서는 부신 외부에서발견)

24시간 소변내 메다네프린 및 노르-메타네프린 검사

복부와 골반에 대한 CT 또는MRI:metaiodobensylguan-idine 스캔

쿠싱증후군

빠른체중 증가

다뇨

다음

심리적 불안정

중심성비만, 달덩이 얼굴, 들소형육봉, 저색선도, 남성형다모증

고혈당증

214시간

소변 내

코티솔검사

텍사메타손 억제검사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결핵 Ⅳ.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2.01.10 16283
30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05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04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03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02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01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00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299 기타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김병광 2011.12.10 19941
298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1 김병광 2015.04.17 10345
297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2 김병광 2015.04.17 10565
296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김병광 2015.04.13 9773
295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수술 김병광 2015.04.13 8840
294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3 김병광 2015.04.09 9728
293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김병광 2015.04.10 8434
292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김병광 2015.04.11 9886
29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2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28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2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