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검사실검사

   검사실 검사는 고혈압 이외의 심혈관 위험인자, 이차성 고혈압, 무증상

   장기손상, 동반질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치료시작 전 기본검사는 반드시 시행하고 필요하다면 권장검사 및

   확대검사를 시행합니다.

   심혈관 위험도 - 심전도상 죄심실 비대, 좌각차단, 심근경색 소견

   ② 콩팥질환 - 단백뇨, 혈뇨, 혈청크레아티닌의 상승

                eGFR의 감소(< 60ml/min/1.73m²)

   ③ 당뇨병 - 당뇨, 공복혈당

   ④ 빈혈동반 -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⑤ 치료 시작 전 저 칼륨 혈증 -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⑥ 치료 중 칼륨소실 - 티아자이드 나 루프 이뇨제 사용 시

   ⑦ 고칼륨혈증 - 신기능장애

   ⑧ 뇨산치 증가-통풍,공팥장애,비만,이뇨제 투여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⑨ 지질검사 - 이상지혈증

   ⑩ X-선 촬영 상-  심장/가슴비의 증가: 심비대

                     폐혈관상의 증가:   심부전

   치료기간 중 기본검사는 매년 시행 합니다.

 

표7. 고혈압의 검사실 검사

기본 검사

12 - 유도 심전도

소변검사 - 단백뇨, 혈뇨, 당뇨

혈색소, 적혈구 용적률

칼륨, 크레아티닌, 계산된 사구체 여과율(eGFR*), 요산

공복혈당, 지질(총콜레스테롤, HDL-C, LDL-C, 중성지방)

흉부 X-선 촬영

미세알부민뇨: 임의 뇨 중 알부민/크레아티닌 비

권장 검사

75g 경구 당부하검사 또는

당화혈색소(공복혈당 100mg/dl 이상일 때)

심초음파검사

경동맥초음파검사: 내-중막 두께, 동맥경화반 유무

발목-위팔 혈압지수 측정

맥파전달속도 측정

안저검사(당뇨병에서는 필수)

24시간 소변 단백뇨 검사

활동혈압 모니터 및 가정혈압

확대 검사

무증상장기손상에 대한 뇌, 심장, 콩팥, 혈관 검사

이차성 고혈압의 진단을 위한 검사

 

5) 심혈관 위험인자와 무증상 장기손상

   고혈압 환자는 대개 다른 심혈과 위험인자와 동반하므로 혈압강하만으로

   는 고혈압 관련 위험을 조절하는 데 충분치 않습니다.

   심혈관 위험도 산출을 통하여 위험도가 크거나, 장기손상이 있으면

   고혈압 진단기준 미만의 혈압에서도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위험도평가의 중요한 지표로는 혈압 수치 이외에도

   심혈관 위험인자인 ① 연령, 흡연, 비만, 이상지혈증, 혈당상승

                       조기심질환의 가족력, 당뇨병

   무증상 장기손상으로 ② (미세)알부민뇨, 좌심실비대, 망막증, 동맥경화

   임상적 심혈관 유무로는 ③ 뇌질환, 심장질환, 만성콩팥병, 말초혈관

   질환 등이며 이러한 지표를 적절히 평가하여 개별 환자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표 8. 심혈관 위험인자와 무증상장기손상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 나이(남 ≥ 45세, 여 ≥ 55세

● 흡연

● 비만(체질량지수 ≥ 25kg/m²) 또는

   복부비만(복부둘레 남 > 90cm, 여 > 80cm)

● 이상지혈증 총콜레스테롤 ≥ 220mg/dl, LDL-C ≥150mg/dl 

   중성지방 ≥ 200mg/dl, HDL-C < 40mg/dl

● 공복혈당 장애(100 ≤ 공복혈당 < 126mg/dl) 또는

   내당능장애

● 조기 심혈관질환 발병가족력(남 < 55세, 여 < 65세)

● 당뇨병: 공복혈당≥126mg/dl,

           경구당부하 2시간 혈당≥200mg/dl 또는

           당화혈색소 ≥ 6.5%

무증상 장기손상 및 심혈관질환

● 뇌 - 뇌혈관사고, 일시적 뇌혈관 허혈, 혈관성 치매

● 망막 - 3-4단계 고혈압성 망막증

● 심장 - 좌심실비대,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 콩팥 - 미세알부민뇨(30-299mg/day)

          현성단백뇨(≥ 300mg/day)

          eGFR < 60 ml/min/1.73m², 만성콩팥병

● 혈관 - 죽상동맥경화반, 대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발목-위팔 혈압지수 < 0.9)

          목동맥 내중막 최대두께 ≥ 1.0mm

          목동맥 대퇴동맥간 맥파전달속도 . 10m/sec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결핵 Ⅳ.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2.01.10 16283
30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05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04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03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02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01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00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299 기타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김병광 2011.12.10 19941
298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1 김병광 2015.04.17 10345
297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2 김병광 2015.04.17 10565
296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김병광 2015.04.13 9773
295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수술 김병광 2015.04.13 8840
294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3 김병광 2015.04.09 9728
293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김병광 2015.04.10 8434
292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김병광 2015.04.11 9886
29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2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28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2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