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 환자의 평가

   고혈압 환자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서는

   ① 일차상과 이차성 고혈압을 감별하고

   ② 고혈압의 중등도를 평가하고

   ③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 생활습관을 파악하고

   ④ 심혈관 질환 유무와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 또는

      무증상장기손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1) 증상 및 징후

     고혈압 환자는 혈압상승과 관련된 특이한 증상이 없습니다.

     환자가 진료실을 찾게 되는 경우는

       ① 우연히 혈압상승을 발견하거나

       ② 고혈압성 심혈관의 증상이나

       ③ 이차성 고혈압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에 의한 증상이 있을 경우입

          니다.

     두통도 중증 고혈압의 경우 대개 뒤통수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잠에서 깨어나는 이른 아침에 발생하고 몇 시간 후 저절로 살아집니

     다. 그밖에 혈압 상승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두근거림

     피로, 성기능 장애가 있습니다.

     고혈압성 심혈관질환에 의한 증상으로는 혈뇨, 시야 흐림

     일시적 뇌허혈에 의한 어지러움, 협심증,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등

     이 있습니다.

     드물게 대동맥 박리나 대동맥류에 의한 흉통도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기저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는 아침의 두통, 주간의 과도한 졸림

     우울증, 집중력 저하, 야간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은 소변량이 많거나, 물을 많이 마시거나 근무력

     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쿠싱증후군 환자는 체중증가. 정서불안이

     갈색세포종 환자는 발작성 두통, 두근거림, 땀이 남, 기립성 어지러움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병력

     고혈압 환자의 병력을 청취할 때는

       ① 환자의 과거 및 현재의 병력과 가족력

       ②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할 만한 병력

       ③ 무증상장기손상을 의심하게 하는 병력

       ④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유무

       ⑤ 동반질환 병력

       ⑥ 식이, 흡연, 신체활동과 운동, 수면, 성격과 심리상태 등의

          생활 습관

       ⑦ 과거 고혈압의 유병기간, 치료 여부, 결과 및 부작용

       ⑧ 소염진통제, 경구피임약, 한약 등 기타 약물 사용력

       ⑨ 사회경제적 상태

  3) 신체진찰

     고혈압 평가를 위한 신체진찰로는

       ① 처음에는 좌우 양팔의 혈압, 맥박 수

       ② 키와 몸무게 및 이를 이용한 체질량지수 및 허리 둘레

       ③ 경동맥, 복부 및 대퇴부 잡음

       ④ 갑상선 촉진

       ⑤ 심장과 폐의 진찰

       ⑥ 콩팥비대, 종괴, 방광팽창, 비정상적 대동맥 박동 등을 진단하기

          위한 복부진찰

       ⑦ 하지의 부종과 맥박의 촉진

       ⑧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166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165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164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163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162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161 결핵 Ⅳ.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2.01.10 16283
160 소화기질환 Ⅳ.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1 김병광 2013.10.15 11093
159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158 소화기질환 Ⅲ.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 3 김병광 2013.10.14 10610
157 결핵 Ⅲ. 결핵이 재치료 및 약제내성 결핵이 치료 김병광 2012.01.06 15409
156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155 소화기질환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김병광 2013.10.13 9896
154 결핵 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2.01.04 14664
153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152 소화기질환 Ⅰ.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정의 김병광 2013.10.13 9212
151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2 김병광 2012.01.02 14376
150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1 2 김병광 2012.01.02 14650
149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148 PPT 자료실에 자료 올리는 중입니다 김병광 2011.05.02 1405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