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by 김병광 posted Nov 1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 환자의 평가

   고혈압 환자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서는

   ① 일차상과 이차성 고혈압을 감별하고

   ② 고혈압의 중등도를 평가하고

   ③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 생활습관을 파악하고

   ④ 심혈관 질환 유무와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 또는

      무증상장기손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1) 증상 및 징후

     고혈압 환자는 혈압상승과 관련된 특이한 증상이 없습니다.

     환자가 진료실을 찾게 되는 경우는

       ① 우연히 혈압상승을 발견하거나

       ② 고혈압성 심혈관의 증상이나

       ③ 이차성 고혈압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에 의한 증상이 있을 경우입

          니다.

     두통도 중증 고혈압의 경우 대개 뒤통수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잠에서 깨어나는 이른 아침에 발생하고 몇 시간 후 저절로 살아집니

     다. 그밖에 혈압 상승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두근거림

     피로, 성기능 장애가 있습니다.

     고혈압성 심혈관질환에 의한 증상으로는 혈뇨, 시야 흐림

     일시적 뇌허혈에 의한 어지러움, 협심증,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등

     이 있습니다.

     드물게 대동맥 박리나 대동맥류에 의한 흉통도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기저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는 아침의 두통, 주간의 과도한 졸림

     우울증, 집중력 저하, 야간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은 소변량이 많거나, 물을 많이 마시거나 근무력

     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쿠싱증후군 환자는 체중증가. 정서불안이

     갈색세포종 환자는 발작성 두통, 두근거림, 땀이 남, 기립성 어지러움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병력

     고혈압 환자의 병력을 청취할 때는

       ① 환자의 과거 및 현재의 병력과 가족력

       ②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할 만한 병력

       ③ 무증상장기손상을 의심하게 하는 병력

       ④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유무

       ⑤ 동반질환 병력

       ⑥ 식이, 흡연, 신체활동과 운동, 수면, 성격과 심리상태 등의

          생활 습관

       ⑦ 과거 고혈압의 유병기간, 치료 여부, 결과 및 부작용

       ⑧ 소염진통제, 경구피임약, 한약 등 기타 약물 사용력

       ⑨ 사회경제적 상태

  3) 신체진찰

     고혈압 평가를 위한 신체진찰로는

       ① 처음에는 좌우 양팔의 혈압, 맥박 수

       ② 키와 몸무게 및 이를 이용한 체질량지수 및 허리 둘레

       ③ 경동맥, 복부 및 대퇴부 잡음

       ④ 갑상선 촉진

       ⑤ 심장과 폐의 진찰

       ⑥ 콩팥비대, 종괴, 방광팽창, 비정상적 대동맥 박동 등을 진단하기

          위한 복부진찰

       ⑦ 하지의 부종과 맥박의 촉진

       ⑧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Articl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