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

    표1.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혈압(mmHg) 확장기혈압(mmHg)

정상혈압*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2기

120 - 129 또는 80 - 89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        1기

              2기

140 - 159 또는 90 - 99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

 

2. 고혈압의 중요성

   정상혈압은 임상적으로 심혈관 위험도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고혈압의 

   위험성을 평가할 때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140/90mmHg이상인 고혈압환자는 130/85mmHg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

      보다 뇌혈관 위험이 2.6배 높고 고혈압이 뇌졸중의 가장 위험인자

      입니다.

   ②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130/85mmHg미만의 혈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기 고혈압 전단계(130 - 139 또는 85-89mmHg)의 경우 위험도가

      5.08배가 높았습니다.

   ③ 고혈압 전단계의 사람들은 정상혈압의 사람들 보다 심혈관 생활습관

      이좋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고혈압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높습니다.

   ④ 혈압이 높을수록 뇌출혈(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이 증가하였으며 

      135/85mmHg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은 혈압에서 유의하게 뇌출혈이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남성의 뇌혈관 질환과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고혈압의 기여

      위험도는 각각 35%와 21%입니다.

   ⑤ 수축기 혈압이 20mmHgwmd가할 때마다 허혈성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출혈의 위험도는

      남성이 각각 1.79배, 2.48배, 1.65배 높았고

      여성에서는 1.64배, 3.15배. 2.29배 높았습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326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325 당뇨병 5. 당뇨병진단/ 6. 매년 혈당검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김병광 2011.05.02 18781
324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1) 급성합병증 3 김병광 2011.05.02 18839
323 당뇨병 7. 당뇨병 합병증 2) 만성합병증/ 8. 만성합병증 정리 김병광 2011.05.02 18202
322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8
321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320 PPT 자료실에 자료 올리는 중입니다 김병광 2011.05.02 14054
319 B형간염 Ⅰ. B형간염의 역학과 자연경과 김병광 2012.05.03 17862
318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1 2 김병광 2012.01.02 14650
317 결핵 Ⅰ. 결핵의 진단 - 2 김병광 2012.01.02 14376
316 소화기질환 Ⅰ.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정의 김병광 2013.10.13 9212
315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314 결핵 Ⅱ. 결핵의 치료 김병광 2012.01.04 14664
313 소화기질환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김병광 2013.10.13 9896
312 B형간염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김병광 2012.05.08 14952
311 결핵 Ⅲ. 결핵이 재치료 및 약제내성 결핵이 치료 김병광 2012.01.06 15409
310 소화기질환 Ⅲ.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 3 김병광 2013.10.14 10610
309 B형간염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김병광 2012.05.08 12639
308 소화기질환 Ⅳ.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1 김병광 2013.10.15 1109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