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by 김병광 posted Nov 1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

    표1.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혈압(mmHg) 확장기혈압(mmHg)

정상혈압*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2기

120 - 129 또는 80 - 89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        1기

              2기

140 - 159 또는 90 - 99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

 

2. 고혈압의 중요성

   정상혈압은 임상적으로 심혈관 위험도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고혈압의 

   위험성을 평가할 때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140/90mmHg이상인 고혈압환자는 130/85mmHg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

      보다 뇌혈관 위험이 2.6배 높고 고혈압이 뇌졸중의 가장 위험인자

      입니다.

   ②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130/85mmHg미만의 혈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기 고혈압 전단계(130 - 139 또는 85-89mmHg)의 경우 위험도가

      5.08배가 높았습니다.

   ③ 고혈압 전단계의 사람들은 정상혈압의 사람들 보다 심혈관 생활습관

      이좋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고혈압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높습니다.

   ④ 혈압이 높을수록 뇌출혈(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이 증가하였으며 

      135/85mmHg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은 혈압에서 유의하게 뇌출혈이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남성의 뇌혈관 질환과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고혈압의 기여

      위험도는 각각 35%와 21%입니다.

   ⑤ 수축기 혈압이 20mmHgwmd가할 때마다 허혈성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출혈의 위험도는

      남성이 각각 1.79배, 2.48배, 1.65배 높았고

      여성에서는 1.64배, 3.15배. 2.29배 높았습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