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질환
2013.10.14 14:55

Ⅲ.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

조회 수 1061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비알코올 지방간염의 진단 및 선별검사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간 내 지방변화의

   확인뿐 아니라 다른 원인의 간질환이 아니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간기능검사에서 AST 또는 ALT(GPT 또는 GOT)의 상승이 발견된 

   경우 B형 및 C형 간염, 알코올 간 질환, 약물유발 간염,

   자가면역 간질환, 윌슨병 등의 다른 간질환과 근육질환 등의 감별을

   위한 병력청취 및 검사가 필요하며

   일차적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간의 지방증을 확인 하여야

   합니다.

   영상학적으로 우연히 간의 지방 변화가 발견된 경우 대사증후군,

   제2형 당뇨병 및 관상동맥질환 등에 대한 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

   습니다.

 

2. 비알코올 지방간염 및 진행된 섬유화에 대한 비침습적 검사법

 1) 영상의학 검사

    초음파검사, CT, MRI, Transient elastography(MRS)는 간내 지방량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비알코올 지방간과 지방감염의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 안습니다.

 2) Transient elastography(TE)

    간내 섬유화 평가에 있어서 높은 민감도와 측이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비만환자에서는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3)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MRE)

    비알코올 지방간과 비알코올 지방간염 및 섬유화를 감별하는데

    유용하나 검사비가 고가이며 이 장비는 모든 의료기관에 다 있지

    않습니다.

 4) 생화학적 패널

   ⑴ AST/ALT비 - 가장 일반적이고 쉬운 검사이나 간조직내의 섬유화나

      염증정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미알코올 지방간과 지방간염을

      감별할 수 없고 치료에 따른 효과도 반영하지 못합니다.

   ⑵ NAFLD Fibrosis Score(NFS) - 6개의 표식자(연령,체질량지수(BMI),

      당뇨병/내당능장애의 유무, 혈소판 수, 알부민, AST 와 ALT(SGPT와

      GOT)로 구성되어 있고 웹사이트( http://nafldscore.com)에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⑶ Enhanced Liver Fibrosis(ELF) - 현재 유럽에서 간섬유화 평가방법

      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간섬유화와 괌련된 3개의 기질단백으로

      구성됭 있습니다.

   ☎ ① 초음파검사, CT, MRI, Transient elastography(MRS는 간내 지방

         량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비알코올 지방간과 지방감염의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② NAFLD Fibrosis Score(NFS), Transient elastography(TE) 및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는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서

         진행된 간섬유화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NAFLD Fibrosis Score(NFS)가 가장 많이 검증되어있고 비교적

         간단히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간조직검사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서 비알코올 지방간염 또는 진행된 감 섬유화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간 조직검사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다른 만성 간질환의 동반을

   배제할 수 없을 때에는 간 조직 검사를 고려해 봐야 합니다.

 

                              

                                       출처: 2013년 대한간학회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32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32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김병광 2017.04.22 2516
32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1.서론 김병광 2017.04.22 2494
32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322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32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320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31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318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317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31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15 기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김병광 2016.10.08 4990
31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31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31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31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31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30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30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