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질환
2013.10.13 15:12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조회 수 98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발생률과 유병율

   국내에서 시행한 검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5년간 후향적

   코호트연구에서는 1,000명당 연간 약 26명의 발생을 보였습니다.

   국내 생체 간공여자 58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유병률은 51%로 나타났으며,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비알코올 지방간

   의 유병률은 16-33%fh 나타났습니다.

 

2.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위험인자

table 1.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위험인자

입증된 인자

가능성이 있는 인자

비만

제2형 당뇨병

이상지혈증

대사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

수면 무호흡증

☎ 대사 증후군이란 아래의 기준 중 세 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정의 합니다

   ⑴ 허리둘레: 남자의 경우 90cm초과, 여자의 경우 80cm 초과

   ⑵ 중성지방: 150mg/이상

   ⑶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남자의 경우 40mg/dl 미만

                                     여성의 경우 50mg/dl 미만

   ⑷ 공복혈당: 100mg/dl 이상

   ⑸혈압: 수축기 혈압 13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85mmHg이상인 경우

 

3.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자연경과

   비알코올 지방간은 대부분 양호한 결과를 갖습니다.

   비알코올 지방간염의 일부환자는 간경변이나 간세포암종같은 말기간질환

   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간조직검사에서 단순지방증의 소견만 보이는 지방간환자는 0.9 - 1.2%에

   서만 간경변증이 발생하지만

   지방간염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13.7년 동안 약 10%의 환자에서

   말기 간질환으로 진행됩니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자연경과를 요약하면

    ①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전체 사망률이 높고

    ②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며

    ③ 비알코올 지방간염 환자에서는 간질환 관련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4.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연관 질환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서 흔히 동반되는 질환은

     비만, 제2형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이며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심혈관 질환입니다.

   지방간염 환자에서는 말기 간질환에 의한 사망이 증가합니다.

 

                                출처: 2013년 대한간학회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4. 임신부

  2.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3. 성인 예방접종 기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1. 의료인

  4.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8. 황열

  5.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6.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2. A형간염

  7.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4. 수막구균

  8.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8. 일본뇌염

  9.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6.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10.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3. 공수병

  11.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12.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1. 만성질환

  13.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14.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Ⅳ. 혈당조절의 감시 Ⅴ 혈당조절 약제

  15.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2. 기타 직업군

  16.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지침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17.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18.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19.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20.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