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3.07.08 02:57

남성 갱년기

조회 수 102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성에게도 갱년기가 있을까?

  남성은 30대 후반부터 성호르몬 분비가 매년 1%이상씩 감소하여

  70대에는 30대의 1/2, 80대는 1/3 수준이 됩니다.

  또한 남성호르몬에 대한 표적세포의 민감도도 떨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즉 남성갱년기란 “40대에서 55세”사이에 남성호르몬 감소에 인해

  중년이후 신체적 변화와 함께 전신, 심리적 상태,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변화를 보이는 노화 현상입니다. 그러나 여성에 비하여 증상

  은 천천히 일어나고 진행도 서서히 이루어짐니다.

 

☎ 남성 갱년기 증상을 평가하는 방법

   ① 성적 흥미가 감소했다.       ② 기력이 몹시 떨어졌다.

   ③ 근력이나 지구력이 떨어졌다. ④ 키가 줄었다.

   ⑤ 삶에 대한 즐거움을 잃었다.  ⑥ 슬프거나 불만이 있다.

   ⑦ 발기의 강도가 떨어졌다.     ⑧ 저녁 식사 후 바로 졸린다.

   ⑨ 최근 일의 능률이 떨어졌다.  ⑩ 최근에 운동을 할 때 민첩성이

                                    떨어졌다.

   ※ 위문항 중 ①이나 ⑦에 해당하거나,

      나머지 3개 문항이 해당되면 남성갱년기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 남성호르몬 저하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1) 뼈 - 나이가 들수록 여성처럼 골밀도가 낮아짐니다.

           따라서 남성갱년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한테는 골절이 쉽게

           일어남니다.

   2) 체 구성 -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감소하고 복부를 중심으로 체지방

           이 증가하게 됩니다. 노화에 따른 근육변화는 활동량을 저하시

           키고 쉽게 넘어지거나 골절을 일어나는 기능적인 문제가 생깁니

           다.

   3) 성기능 - 나이를 먹을수록 발기력이나 극치감, 성행위빈도,

           성적활동에 대한 관심 등 성기능이 떨어집니다.

   4) 전신 증상과 기분 - 노인 남성은 대개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어도

           활력감소, 우울증, 두통, 성욕 및 집중력 저하, 수면 이상,

           전신피로, 졸림 등 전신증상을 호소합니다.

           이럴 때 남성호르몬이 정상 이하이거나 낮은 수치인 경우가

           많습니다.

           안면홍조나 시력과 청력, 생식력의 저하와 같은 증상을 보이기

           도 합니다.

 

2. 치료

   대체로 호르몬 보충요법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남성갱년기 치료에 사용되는 호르몬은 남성호르몬,, 성장호흐몬

   멜라토닌 및 DHEA 등의 단독 혹은 병용요법이 있으나

   남성호르몬 보충법이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 가능한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보충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주사제 - 가장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주사제입니다. 3-4주에 한번씩

      근육주사를 맞으면 충분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에 도달 할 수

      있고, 수주일 동안 유지됩니다.

      반면 정상적인 생체 리듬인 호르몬의 하루 혈중농도 변동에 다르고

      생리적 용량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유지해

      유방통 등이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3) 경구제(먹는 약) - 최근 들어 개벌된 지용성 약물은 간독성이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혈중 농도를 올린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생리적인 농도 이상의 높은 혈중 농도를 유발할 수 있고

      반감기가 짧아 하루 2회 이상 식사와 함께 복용해야 하며, 간혹 소화

      불량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경피제(피부에 부착하거나 바르는 방법) - 일반 피부나 음낭 등에

      부착하는 방법, 피부에 바르는 방법 등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주사나 경구제와 비교하면 남성호르몬의 생리적 형중농도와

      가장 유사한 혈중농도를 만들 수 있고, 주사의 불편함이나 소화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아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추천되지만

      피부자극이나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출처: 영남대학교 의료원, 비뇨기과 문학기 교수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당뇨관리 1. 식사뇨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기 어려우신분들(특히 노인분들)

    Date2011.05.02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7061
    Read More
  2. 남성 갱년기

    Date2013.07.08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0268
    Read More
  3.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Date2011.08.27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2745
    Read More
  4. 기능성 소화불량의 진단과 치료

    Date2016.05.17 Category소화기질환 By김병광 Views5306
    Read More
  5.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Date2016.12.27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4405
    Read More
  6.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Date2016.12.27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4244
    Read More
  7.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Date2016.12.2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4190
    Read More
  8.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Date2016.12.2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4387
    Read More
  9.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Date2016.12.2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3288
    Read More
  10.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Date2016.12.2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765
    Read More
  11.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Date2016.10.08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4990
    Read More
  12.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Date2016.12.2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2970
    Read More
  13.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4

    Date2012.01.28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5090
    Read More
  14.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3

    Date2012.01.28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4820
    Read More
  15.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2

    Date2012.01.28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5576
    Read More
  16.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1

    Date2012.01.28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5991
    Read More
  17.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Date2012.02.12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6390
    Read More
  18. 고혈압의 약물요법 - 1

    Date2012.02.11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6774
    Read More
  19. 고혈압성 콩팥병

    Date2012.09.05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2527
    Read More
  20. 고혈압 환자의 평가 - 2

    Date2012.02.02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155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