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652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분

예방접종

접종금기/주의

항암치료 중인 암환자

인플루엔자➀

폐렴구균(13가,23가)②

Hib③(비장절제술 시행받는 환자 포함)

생백신➃

무비증 환자

인플루엔자

폐렴구균(13가,23가)②

Hib③

수막구균③

없음

장기이식환자⑤

인플루엔자

Td/Tdap

페렴구균(13가,23가)

A형간염⑥

B형간염⑥

생백신⑦

조혈모세포 이식환자⑧

인플루엔자⑨

Td/Tdap

폐렴구균(13가,23가)⑩

Hib⑪

생백신⑫

HIV 감염자

인플루엔자

폐렴구균(13가,23가)

B형간염⑬

Hib

생백신⑭

면역억제제 사용자⑮

인플루엔자⑯

폐렴구균(13가,23가)⑰

생백신⑱

 

  ① 항암치료 시작 2주 전, 항암치료 중에는 다음 치료 2주 전에

     접종합니다. 생백신은 접종금기입니다.

  ② 항암치료 시작 2주 전(가능하면 4-6주전)

     또는 항암치료 종결 3개월 후 에 접종합니다.

  ③ 항암치료 시에는 시작 2주 전(가능하면 4-6주 전) 또는 항암치료 종결

     3개월 후, 비장 절제술 시행 2주전(2주전에 접종 못했을 경우에는

     수술 2주 후)에 접종합니다.

  ④ 생백신(MMR, 수두, 대상포진 등)은 접종 금기입니다.

     생백신 접종 이 필요한 경우 항암치료 종결 3개월 후에 접종을 고려해

     야 합니다.

  ⑤ 가능한 한 이식 전에 면역상태를 확인하여 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통상적으로 이식 후 6개월이 경과하면 면역저하의 정도가 안정되므로

     접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⑥ 항체 음성인 환자는 이식 후보다는 이식 전에 예방접종을 받도록

     권장합니다.

  ⑦ 인플루엔자 생백신은 이식 전 후 모두 접종 금기입니다.

     수두백신은 접종 후 적어도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이식을 하도록

     권장하며, 이식 후에는 접종금기입니다.

  ⑧ 조혈모세포 이식 수혜자는 B형간염, 홍역, 파상풍, 디프테리아,

     폴리오 등에 대한 정기적인(4-5년마다)항체검사를 권장해야 합니다.

     BCG, 폴리오 생백신, 인플루엔자 생백신은 접종금기입니다.

  ⑨ 생백신은 권장하지 않으며,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 이식 4개월이

     경과하였으면 즉시 접종합니다.

  ⑩ 접종시작 시기에 대해 논란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식 후 3-6개월 후

     접종합니다.

  ⑪ 이식 후 6-12개월에 접종합니다.

  ⑫ 생백신(MMR, 수두, 대상 포진 등)은 접종금기입니다.

     단 접종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이식 후 2년이 지난 후에 접종하도록

     하고, 만성 이식 편대 숙주반응이 있거나 면역저하상태가 지속될 경우

     에는 접종하지 않습니다.

     대상포진 백신은 바이러스 역가가 높아 접종금기입니다.

  ⑬ 일반적인 백신 투여량이 2배인 2.0mL을 투여해야 합니다.

  ⑭ HIV 감염의 CD4+ T 림프구수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생백신(MMR, 수두, 대상포진 등)접종 금기입니다.

  ⑮ 예방접종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DMARD(disease-modifying anti-

     rheumatic drugs), TNF-α차단제 투여시에도 접종 가능하며,    

     Riuximab 사용 4주 전에 접종하도록 합니다.

     생백신 접종은 면역억제제 사용 종료 3개월 이상 경과 후에 고려해야

     합니다.

  ⑯ 불활성 생백신으로 접종합니다.

  ⑰ Methotrexate 또는 Rituximab 사용 시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면역반응이 매우 감소하므로, 투약 4주 전 또는 투약 종료 후 3-6개월

     이상 경과한 뒤에 접종해야 합니다.

  ⑱ 생백신(MMR,수두, 대상포진 등)은 접종금기이나 접종이 필요한 경우,

     면역 억제제 투약 시작 4주 전 접종 또는 투약 종료 후 3개월 이상

     경과 후에 접종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32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32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김병광 2017.04.22 2516
32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1.서론 김병광 2017.04.22 2494
32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322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321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320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김병광 2016.12.22 4190
31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318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317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31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15 기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김병광 2016.10.08 4990
31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김병광 2016.10.08 4239
31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312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31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김병광 2016.10.06 4544
31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김병광 2016.10.06 3751
30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김병광 2016.10.06 4027
30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김병광 2016.10.06 399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