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5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예방접종 권장대상

구분

대상

알반권장

없음

연령별

65세 이상

질환별

만성심혈관질환자(만성심부전,심근병증 포함,고혈압은 제외)

만성폐질환자(만성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천식 포함)

만성간질환자(간경변증 포함), 당뇨환자

뇌척추액 누출한자, 기능적⦁해부학적 무비증 환자

면역저하자¹

직업 및 상황별

인공와우 이식상태

알코올 중독자, 흡연자

¹: 면역저하자 - 선천적 면역저하, HIV감염,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백혈병, 호치킨병, 종양질환, 장기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를 포함한 면역억지제 투여, 치료방사선 요법,

                고혈장기이식, 조혈모 세포 이식, 다발성 골수종 자

❋ 최근13가 단백결합 백신이 50세 이상 성인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허가를

   받았으나 50세 이상 모든 성인에게 접종을 권고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한 근거자료는 부족합니다. 다만 50세 이상 성인 중 뇌척추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환자, 기능적 및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저하자의 경우

   13가 단백결합백신 접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접종용량 및 방법

  ⑴ 23가 다당백신(PPSV23): 0.5mL 1회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 또는

     상완외측에 피하주사를 합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 첫 번째 23가 다당 백신접종으로부터 5년 경과 후

     재접종 합니다.

     ① 19-64세 성인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저하자의 경우

     ② 65세 이전에 23가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이 되었

        을 경우. 단, 65세 이후에 23가 다당백신을 처음 접종하였다면

        재접종은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⑵ 13단가 단백질백신(PCV13): 0.5mL 1회 삼각근 부위에 주사

     ⑶ 접종백신별 최소 접종간격

사용백신

최소 접종간격

PCV13 → PPSV23

8주

PPSV23 → PCV13

1년

PPSV23 → PPSV23

5년

     ⑷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대상자의 접종일정

        ① 이전에 폐렴구균 백신을 한 번도 접종받지 않은 경우

           - PCV13 1회 접종, 8주 이상 경과 후 PPSV23 1회 접종

        ② 이전에 PPSV23을 1회 아상 접종받은 경우

           - 마지막 PPSV23접종으로부터 1년 이상 경과 후

             PCV13 1회 접종 받습니다.

 

☎ 폐렴구균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별 접종권장 기준

    구 분

   의학적 상태

PCV13▪

PPSV23✴

  권장

 권장

첫 번째 접종 후

5년 뒤 재접종

     정

     상

     면

     역

     인

만성심혈관질환

(고혈압 제외)*

 

  O

 

만성 폐질환⦂

 

  0

 

당뇨병

  0

 

뇌척추액 누출

   0

  0

 

인공와우 이식상태

   0

  0

 

알코올 중독

 

  0

 

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간 질환

 

  0

 

흡연

 

  0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0

  0

      0

무비증, 비장기능

장애 및 비장제거술

   0

  0

      0

     면

     역

     저

     하

     자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증⍣

   0

  0

      0

HVI 감염증

   0

  0

      0

만성 신부전

   0

  0

      0

신증후군

   0

  0

      0

백혈병

   0

  0

      0

림프종

   0

  0

      0

전신적인 악성종양

   0

  0

      0

면역억제제,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전신요법 및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

   0

  0

      0

고형 장기 이식

   0

  0

      0

다발성 골수종

   0

  0

     0

 

▪  50세 이상 성인 중 해당 대상자에게 우선접종을 고려할 수 있음니다.

✴ 65세 이상 성인은 이전에 폐렴구균 백신 접종력과 상관 없이 PPSV23을

   1회 접종 받아야 합니다.

*  울혈성 심부전과 심근증이 포함됩니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천식포함

⍣  B세포(체액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 질환은 제외)

 

☎ 폐렴구균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별 접종 시나리오

   ① 19-64세 천식환자,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 없는 경우

      → PPS23으로 1회 접종 + 65세 이후에 PPSV23 1회 접종

         (이전 PPSV23과 5년 이상 간격 유지)을 받는게 좋습니다.

   ② 19-64세 천식환자, 이전에 PPSV23 접종력 있는 경우

      → 65세 이후에 PPSV23 1회 접종

         (이전 PPSV23과 5년 이상 간격 유지)을 받아야 합니다.

   ③ 65세 이상 천식환자,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 없음

      → PPSV23 1회 접종을 받습니다.

   ④ 65세 이상 천식환자, 65세 이후에 PPSV23 접종력 있는 경우

      → 더 이상 접종할 필요가 없습니다.

   ⑤ 50-64세 면역저하자(무비증 포함),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 없는

      경우

      → PCV13 1회 접종 + 8주 이후 PPSV23 1회 접종 + 5년 뒤 PPSV23

         재접종✴받아야 합니다.

      ✴ 65세 미만에 접종한 경우 65세 이후에 PPSV23회 1회 추가 접종이

         필요합니다.(이전 PPSV23과 5년의 간격 유지)

   ⑥ 50-64세 면역 저하자(무비증 포함), 이전에 PPSV23 접종력 있는 경우

      → 이전 PPSV23 접종 후 1년 경과 후 PCV13 1회 접종 + 5년 뒤

         PPSV23 재접종✴받아야 합니다.

      ✴ 65세 미만에 접종한 경우 65세 이후에 PPSV23 1회 추가 접종

         (이전 PPSV23과 5년 간격 유지)

   ⑦ 65세 이상 면역저하자(무비증 포함),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이 없는

      경우

      → PCV13 1회 접종 + 8주 이후 PPSV23 1회 접종

   ⑧ 65세 이상 면역저하자(무비증 포함), 65세 이후에 PPSV23 접종력이

      있는 경우

      → 이전 PPSV23 접종 1년 이상 경과 후 PCV13 1회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⑨ 50-64세 뇌적추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환자,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 없는 경우

      → PCV13 1회 접종 + 8주 후 PPSV23 1회 접종✴

      ✴ 65세 미만에 접종한 경우 65세 이후에 PPSV23 1회 추가 접종

         (이전 PPSV23과 5년 간격 유지)받는게 좋습니다.

   ⑩ 50-64세 뇌척수액 누출 및 이공와우 이식환자, 이전에 PPSV23 접종력

      이 있는 경우

      → 이전 PPSV23 접종 1년 이상 경과 후 PCV13 1회 접종 + 65세 이후

         에 PPSV23 1회 재접종(이전 PPSV23과 5년의 간격유지)받는게

         좋습니다.

   ⑪ 65세 이상 뇌척수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환자, 이전에 폐렴구균

      접종력이 없는 경우

      → PCV13 1회 접종 + 8주 이후 PPSV23으로 1회 접종받아야 합니다.

   ⑫ 65세 이상 뇌척수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환자, 65세 이후에 PPSV23

      접종력이 있는 경우

      → 이전 PPSV23 접종 1년 경과 후 PCV13으로 1회 접종합니다.

 

3. 이상반응

   ① 국소반응: 접종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등 경미한 반응이 30-50%

               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48시간 이내에 소멸합니다.

   ② 전신반응: 발열, 근육통 등이 드물게 발생합니다.

 

4. 금기 및 주의사항

   ① 초회 접종 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재접종은

      금기입니다.

   ② 중등도 이상 급성질환을 앓고 있을 때는 호전된 후 접종 받는 게

      좋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과 임신 김병광 2015.08.01 6408
34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 김병광 2015.07.31 5822
34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① 김병광 2015.08.01 5898
34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② 김병광 2015.08.01 6034
34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 김병광 2015.08.01 5835
342 당뇨병 22. 당뇨병성콩팥병의 예방은? 김병광 2011.10.04 20632
341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340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339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338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337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336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335 당뇨병 3. 당뇨의 원인/ 4. 당뇨병의 증상 김병광 2011.05.02 19231
334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333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332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331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330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329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328 당뇨병 36.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부록) 김병광 2011.11.04 150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