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

Ⅰ.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 및 관리

  1. 만성신질환 환자에 대한 매년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BMI), 운동, 음주, 흡연을 포함한 심혈관 위험요소를 평가

     받아야 합니다.

    ① 고혈압, 고혈당(당뇨의 경우), 지질이상 및 영양관리에 대한 각각의

       지침에 따라 적절히 치료해야 합니다.

    ② 모든 단계의 만성 신질환 환자는 금연해야 합니다.

    ③ 모든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주 3-5회 정도의 정기적인 운동을 해야

       합니다.

  2.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심장기능을

     평가받는게 좋습니다.

  ☎ 심혈관 위험요소에 대해 매년 재평가하여 교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성 콩팥병에서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혈압조절,

     혈당조절, 지질이상관리, 영양관리 등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Ⅱ.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1. 모든 만성신질환 환자는 운동부하 또는 약물부하 심초음파,

     심장핵의학 검사, 관상동맥조영술을 포함하여 일반 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받아야 합니다.

  2. 만성 신질환 환자의 관상동맥질환은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와 같은

     방법(항응고제, 항혈소판제, ACEI, 스타틴, PTCA, 혈전용해제)으로

     치료받아야 합니다.

  ☎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근경색 후 생존율은 매우 좋지 않으며,

    신기능 장애 정도와 비례합니다.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체 기능과 삶의 질

  1. 신체 기능 및 삶의 질 평가 도구 및 사용:

     한국판 SF-36의 사용을 고려하되 신질환 환자에게 특이한 평가 도구를

     원하면 KDQOL(Kidney Disease Quality of Life)를 사용합니다.

  2. 신체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 약물적 치료: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프로그램 개발과 운동을 꾸준히 실행 해야 합니다.

  3. 일상생활: 절대적인 안정으로 신부전의 진행이 억제되는 것이 아니나,

     과격한 운동이나 노동은 신기능을 악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

     의사와 상의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의 약물치료

  1. 약물용량:

     모든 약물 처방 시 사구체여과율에 따라 약물의 용량과 간격을 확인해

     야 합니다.

2. 신독성 약물: 환자에게 신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의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 NSAID 계열의 진통소염제, 신장으로 배설되는 항생제, 검사용 조영제 등

3. 대체의학: 의사는 대체의학 혹은 건강식품에 대한 상담은 다음의 원칙에 따라 설명해야 합니다.

① 부장용의 사례를 설명해야 합니다.

② 복용 전 담당의사와 다시 한번 상의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③ 정상적인 처방에 의한 약만 신뢰할 수 있음을 강조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4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3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34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34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34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4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34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3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6) 비만의 약물요법 김병광 2017.06.05 2808
33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3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김병광 2017.05.23 2824
33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3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2) 비만 치료 전 준비 김병광 2017.05.26 2845
3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김병광 2017.06.02 2850
33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3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3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3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2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김병광 2017.05.11 2858
3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