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

Ⅰ.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 및 관리

  1. 만성신질환 환자에 대한 매년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BMI), 운동, 음주, 흡연을 포함한 심혈관 위험요소를 평가

     받아야 합니다.

    ① 고혈압, 고혈당(당뇨의 경우), 지질이상 및 영양관리에 대한 각각의

       지침에 따라 적절히 치료해야 합니다.

    ② 모든 단계의 만성 신질환 환자는 금연해야 합니다.

    ③ 모든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주 3-5회 정도의 정기적인 운동을 해야

       합니다.

  2.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심장기능을

     평가받는게 좋습니다.

  ☎ 심혈관 위험요소에 대해 매년 재평가하여 교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성 콩팥병에서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혈압조절,

     혈당조절, 지질이상관리, 영양관리 등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Ⅱ.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1. 모든 만성신질환 환자는 운동부하 또는 약물부하 심초음파,

     심장핵의학 검사, 관상동맥조영술을 포함하여 일반 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받아야 합니다.

  2. 만성 신질환 환자의 관상동맥질환은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와 같은

     방법(항응고제, 항혈소판제, ACEI, 스타틴, PTCA, 혈전용해제)으로

     치료받아야 합니다.

  ☎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근경색 후 생존율은 매우 좋지 않으며,

    신기능 장애 정도와 비례합니다.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체 기능과 삶의 질

  1. 신체 기능 및 삶의 질 평가 도구 및 사용:

     한국판 SF-36의 사용을 고려하되 신질환 환자에게 특이한 평가 도구를

     원하면 KDQOL(Kidney Disease Quality of Life)를 사용합니다.

  2. 신체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 약물적 치료: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프로그램 개발과 운동을 꾸준히 실행 해야 합니다.

  3. 일상생활: 절대적인 안정으로 신부전의 진행이 억제되는 것이 아니나,

     과격한 운동이나 노동은 신기능을 악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

     의사와 상의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의 약물치료

  1. 약물용량:

     모든 약물 처방 시 사구체여과율에 따라 약물의 용량과 간격을 확인해

     야 합니다.

2. 신독성 약물: 환자에게 신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의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 NSAID 계열의 진통소염제, 신장으로 배설되는 항생제, 검사용 조영제 등

3. 대체의학: 의사는 대체의학 혹은 건강식품에 대한 상담은 다음의 원칙에 따라 설명해야 합니다.

① 부장용의 사례를 설명해야 합니다.

② 복용 전 담당의사와 다시 한번 상의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③ 정상적인 처방에 의한 약만 신뢰할 수 있음을 강조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4. 임신부

    Date2013.06.03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0229
    Read More
  2.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Ⅸ. 만성 신질환에서 이뇨제의 사용

    Date2013.01.05 Category만성 신질환 By김병광 Views10190
    Read More
  3. 성인 예방접종 기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1. 의료인

    Date2013.05.2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0178
    Read More
  4.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8. 황열

    Date2013.05.1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0131
    Read More
  5.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Date2015.07.30 Category당뇨병 By김병광 Views10097
    Read More
  6.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2. A형간염

    Date2013.03.25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10049
    Read More
  7.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4. 수막구균

    Date2013.05.02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997
    Read More
  8.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8. 일본뇌염

    Date2013.04.09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943
    Read More
  9.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6.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Date2013.04.06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926
    Read More
  10.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3. 공수병

    Date2013.04.30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909
    Read More
  11. Ⅱ.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역학

    Date2013.10.13 Category소화기질환 By김병광 Views9896
    Read More
  12.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1. 만성질환

    Date2013.05.17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888
    Read More
  13.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Date2015.04.11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886
    Read More
  14.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Ⅳ. 혈당조절의 감시 Ⅴ 혈당조절 약제

    Date2013.01.11 Category만성 신질환 By김병광 Views9878
    Read More
  15.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2. 기타 직업군

    Date2013.05.25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808
    Read More
  16.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이상지혈증의 치료지침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Date2013.01.21 Category만성 신질환 By김병광 Views9801
    Read More
  17.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Date2013.11.16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9789
    Read More
  18.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Date2013.11.23 Category고혈압 By김병광 Views9780
    Read More
  19.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Date2015.04.13 Category기타 By김병광 Views9773
    Read More
  20.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평가와 치료/신체 기능과 삶의 질/약물치료

    Date2013.03.22 Category만성 신질환 By김병광 Views97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