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6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단백질-에너지 영양상태 평가

  1. 만성 신질환 4,5단계의 환자들은 다음의 영양상태 측정을 위해 다음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영양상태를 평가 받아야

     합니다

     - 혈청 알부민

     - 부종이 없는 상태의 실제 체중, 퍼센트 표준체중,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 단백질섭취량평가(Normalized protein nitrogen appearance;nPNA)

       혹은 식이 상담과 식사기록 점검

     ① 혈청 알부민, 체중, SGA의 측정은 매 1-3개월마다 측정 시행 받습

        니다.

     ② 식이상담과 식사기록 점검, nPRN는 매 3-4개월마다 시행 합니다.

     ③ 사구체 여과율 15ml/min/1.73m²이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영양섭취가 부적절하거나, 영양실조가 있는 환자는 더 자주 평가받

        아야 합니다.

  2. 체질량지수 23Kg/m²이상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3. 혈청알부민

     ① 체내단백량을 반영하고 만성신질환의 환자의 사망률을 반영하는

        지표 입니다.

     ② 안정화된 혈청 알부민 수치는 낮은 정상범위(3.7g/dl)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③ 혈청 알부민치가 감소된 환자는 원인평가를 해야 합니다.

     ④ 급만성 염증이 있을 경우 영양지표로서의 알부민의 특이도에

        제한점이 있습니다.

 

Ⅱ. 대사성 산증

  1. 혈청 중탄산염(Bicarbonate)검사를 월 1회 측정합니다.

  2. 안정된 상태에서 혈청 중탄산염치는 22mmol/L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Ⅲ. 단백섭취에 대한 지침

  1. 식이 단백의 최소 50% 이상을 고생물가 단백질(계란, 고기, 우유,

     생선)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투석전 만성신질환 4,5단계의 환자에서 0.6-0.8g/kg/일의 저단백식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 참고로 고생물가 단백질 식품의 단백질 함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기류 40g = 단백질 8g         계란 1개 = 단백질 8g

      치즈 2장 = 단백질 8g           우유 1컵 = 단백질 6g

  3. 저단백식이는 영양사와 담당의사의 엄격한 관리하에서 영양결핍에

     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4. 권장량의 단백질과 에너지 섭취를 처방하기 위한 기준체중은 부종이

     없는 교정 체중을 사용해야 합니다.

  ☎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식이단백 섭취량은 1.2g/kg/일,

     복막투석 환자의 경우 1.2 -1.3g/kg/일 이 추천됩니다.

 

Ⅵ. 에너지 섭취에 대한 지침

    60세 미만, 투석전 만성신질환 4,5단계 환자의 하루 에너지 섭취량은

    35kg Kcal/Kg/일,

    60세 이상의 유지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환자는 30 - 35kcal/kg/일로

    제한합니다.

 

Ⅴ. 염분섭취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신질환 환자의 염분 섭취량은 하루 5g 미만으로

    합니다.

 

Ⅵ. 칼륨조절

  1.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칼륨 5.5mEq/L 이상일 경우 저칼륨식이

     (1.500mg/일 이하)를 시행 합니다.

  2. 칼륨혈증이 있는 경우 다음을 살펴보고 가능한 교정합니다.

     고칼륨식이 여부/핍뇨/저알도스테론증/대사성 산증/칼륩을 증가 시키

     는 약물복용 확인(ACE1, ARB, NSAIDs, 칼륨보존성 이뇨제, 스테로이

     드)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2
466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65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463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6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46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46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459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45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45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4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4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45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45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45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45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450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4 김병광 2011.12.08 14486
449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2 김병광 2011.12.07 14360
448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김병광 2011.12.05 13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