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6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단백질-에너지 영양상태 평가

  1. 만성 신질환 4,5단계의 환자들은 다음의 영양상태 측정을 위해 다음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영양상태를 평가 받아야

     합니다

     - 혈청 알부민

     - 부종이 없는 상태의 실제 체중, 퍼센트 표준체중,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 단백질섭취량평가(Normalized protein nitrogen appearance;nPNA)

       혹은 식이 상담과 식사기록 점검

     ① 혈청 알부민, 체중, SGA의 측정은 매 1-3개월마다 측정 시행 받습

        니다.

     ② 식이상담과 식사기록 점검, nPRN는 매 3-4개월마다 시행 합니다.

     ③ 사구체 여과율 15ml/min/1.73m²이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영양섭취가 부적절하거나, 영양실조가 있는 환자는 더 자주 평가받

        아야 합니다.

  2. 체질량지수 23Kg/m²이상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3. 혈청알부민

     ① 체내단백량을 반영하고 만성신질환의 환자의 사망률을 반영하는

        지표 입니다.

     ② 안정화된 혈청 알부민 수치는 낮은 정상범위(3.7g/dl)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③ 혈청 알부민치가 감소된 환자는 원인평가를 해야 합니다.

     ④ 급만성 염증이 있을 경우 영양지표로서의 알부민의 특이도에

        제한점이 있습니다.

 

Ⅱ. 대사성 산증

  1. 혈청 중탄산염(Bicarbonate)검사를 월 1회 측정합니다.

  2. 안정된 상태에서 혈청 중탄산염치는 22mmol/L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Ⅲ. 단백섭취에 대한 지침

  1. 식이 단백의 최소 50% 이상을 고생물가 단백질(계란, 고기, 우유,

     생선)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투석전 만성신질환 4,5단계의 환자에서 0.6-0.8g/kg/일의 저단백식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 참고로 고생물가 단백질 식품의 단백질 함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기류 40g = 단백질 8g         계란 1개 = 단백질 8g

      치즈 2장 = 단백질 8g           우유 1컵 = 단백질 6g

  3. 저단백식이는 영양사와 담당의사의 엄격한 관리하에서 영양결핍에

     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4. 권장량의 단백질과 에너지 섭취를 처방하기 위한 기준체중은 부종이

     없는 교정 체중을 사용해야 합니다.

  ☎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식이단백 섭취량은 1.2g/kg/일,

     복막투석 환자의 경우 1.2 -1.3g/kg/일 이 추천됩니다.

 

Ⅵ. 에너지 섭취에 대한 지침

    60세 미만, 투석전 만성신질환 4,5단계 환자의 하루 에너지 섭취량은

    35kg Kcal/Kg/일,

    60세 이상의 유지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환자는 30 - 35kcal/kg/일로

    제한합니다.

 

Ⅴ. 염분섭취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신질환 환자의 염분 섭취량은 하루 5g 미만으로

    합니다.

 

Ⅵ. 칼륨조절

  1.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칼륨 5.5mEq/L 이상일 경우 저칼륨식이

     (1.500mg/일 이하)를 시행 합니다.

  2. 칼륨혈증이 있는 경우 다음을 살펴보고 가능한 교정합니다.

     고칼륨식이 여부/핍뇨/저알도스테론증/대사성 산증/칼륩을 증가 시키

     는 약물복용 확인(ACE1, ARB, NSAIDs, 칼륨보존성 이뇨제, 스테로이

     드)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결핵 Ⅳ. 특수상황에서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2.01.10 16283
306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305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304 B형간염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김병광 2012.05.15 12557
303 B형간염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김병광 2012.05.19 12726
302 B형간염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김병광 2012.05.25 12694
301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300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299 기타 가습기의 오염된 미생물을 줄이는 요령 및 주의 사항 김병광 2011.12.10 19941
298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1 김병광 2015.04.17 10345
297 기타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 2 김병광 2015.04.17 10565
296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방사성요오드 김병광 2015.04.13 9773
295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지료 - 수술 김병광 2015.04.13 8840
294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진단 3 김병광 2015.04.09 9728
293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치료법의 선택 김병광 2015.04.10 8434
292 기타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 항갑상선제 김병광 2015.04.11 9886
29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290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289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1. 항결핵제 4 김병광 2016.09.25 4752
288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I. 결핵의 치료 3. 결핵 초치료 3 김병광 2016.09.25 441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