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2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미네랄 골대사 질환의 평가

  1. 만성신질환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²미만일 때

     미네랄 및 골대사 질환에 대한 평가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intact PTH)을 측정해야 하고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증거에 대해 확인해야 합니다.

  3. 만성신질환 3단계에서는 매 12개월마다, 4단계에서는 매 3개월마다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측정합니다.

     5단계에서는 칼슘과 인을 매 1개월마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매 3개월마다 측정합니다.

     측정결과가 목표 범위를 벗어나서 치료 중일 때에 더 자주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성 신질환 3단계: 사구체 여과율 30-59ml/min/1.73²

                   4단계: 사구체 여과율 15-29ml/min/1.73²

                   5단계: 사구체 여과율 < 15ml/min/1.73²

 

Ⅱ. 혈청 인 및 인결합체

  1. 만성 신질환 3,4단계: 공복 혈청 인을 검사실 정상 기준 범위로 유지

                         합니다.

  2. 만성신질환 5단계: 투석전 공복 혈청 인을 3.5 - 5.5mg/dl로 유지합니

     다.

  3. 혈청 인이 목표 범위 이상인 경우 인 결합체를 사용합니다.

  4. 만성 신질환에서 혈청 칼슘치가 정상 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칼슘 성분 인결합체의 사용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혈청 인 증가는 전체 사망률 및 심혈관계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혈청 칼슘치가 정상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치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칼슘 성분 인 결합제의 사용 중지

        를 고려해야 합니다.

 

Ⅲ. 혈청 칼슘

     만성 신질환 3. 4. 5단계: 혈청 칼슘을 검사실 정상 기본 범위로 유지

     합니다.

     ☎ 혈청 칼슘 증가는 전체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Ⅳ. 혈청 칼슘 X 인

     만성 신질환 3, 4, 5 단계: 혈청 칼슘과 인의 곱을 55mg²/dl²

                              미만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 목표치 이상에서 전체 사망, 심혈관계 사망 및 부갑상선 절제술의

       상대 위험도가 증가 하였습니다.

 

 

Ⅴ. 부갑상선 호르몬

     만성 신질환 단계별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는 다음과 같이 유지 합니

     다.

     3단계: 35 - 70 pg/ml

     4단계: 70 - 110pg/ml

     5단계: 150 - 300 pg/ml

     ☎ 투석전 신질환 3, 4, 5단계 환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치 증가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Ⅵ. 비타민 D치료

  1. 투석환자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시 비타민 D 치료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슙이나 인의 목표 범위를 넘을 경우 혈청 칼슘 X 인의 증가와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타민 D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김병광 2016.12.27 4244
146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김병광 2016.12.27 4405
14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김병광 2017.04.21 3733
14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1.서론 김병광 2017.04.22 2494
14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김병광 2017.04.22 2516
142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김병광 2017.04.24 3521
141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3507
140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김병광 2017.04.24 2584
139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00
138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77
137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6 2635
136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1 3604
13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2 2656
134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2637
133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3 3371
132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131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130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12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12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