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2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미네랄 골대사 질환의 평가

  1. 만성신질환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²미만일 때

     미네랄 및 골대사 질환에 대한 평가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intact PTH)을 측정해야 하고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증거에 대해 확인해야 합니다.

  3. 만성신질환 3단계에서는 매 12개월마다, 4단계에서는 매 3개월마다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측정합니다.

     5단계에서는 칼슘과 인을 매 1개월마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매 3개월마다 측정합니다.

     측정결과가 목표 범위를 벗어나서 치료 중일 때에 더 자주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성 신질환 3단계: 사구체 여과율 30-59ml/min/1.73²

                   4단계: 사구체 여과율 15-29ml/min/1.73²

                   5단계: 사구체 여과율 < 15ml/min/1.73²

 

Ⅱ. 혈청 인 및 인결합체

  1. 만성 신질환 3,4단계: 공복 혈청 인을 검사실 정상 기준 범위로 유지

                         합니다.

  2. 만성신질환 5단계: 투석전 공복 혈청 인을 3.5 - 5.5mg/dl로 유지합니

     다.

  3. 혈청 인이 목표 범위 이상인 경우 인 결합체를 사용합니다.

  4. 만성 신질환에서 혈청 칼슘치가 정상 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칼슘 성분 인결합체의 사용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혈청 인 증가는 전체 사망률 및 심혈관계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혈청 칼슘치가 정상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치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칼슘 성분 인 결합제의 사용 중지

        를 고려해야 합니다.

 

Ⅲ. 혈청 칼슘

     만성 신질환 3. 4. 5단계: 혈청 칼슘을 검사실 정상 기본 범위로 유지

     합니다.

     ☎ 혈청 칼슘 증가는 전체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Ⅳ. 혈청 칼슘 X 인

     만성 신질환 3, 4, 5 단계: 혈청 칼슘과 인의 곱을 55mg²/dl²

                              미만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 목표치 이상에서 전체 사망, 심혈관계 사망 및 부갑상선 절제술의

       상대 위험도가 증가 하였습니다.

 

 

Ⅴ. 부갑상선 호르몬

     만성 신질환 단계별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는 다음과 같이 유지 합니

     다.

     3단계: 35 - 70 pg/ml

     4단계: 70 - 110pg/ml

     5단계: 150 - 300 pg/ml

     ☎ 투석전 신질환 3, 4, 5단계 환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치 증가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Ⅵ. 비타민 D치료

  1. 투석환자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시 비타민 D 치료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슙이나 인의 목표 범위를 넘을 경우 혈청 칼슘 X 인의 증가와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타민 D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66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65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64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63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0
462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61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0
460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1
459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58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57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6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55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4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4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4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4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