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2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미네랄 골대사 질환의 평가

  1. 만성신질환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²미만일 때

     미네랄 및 골대사 질환에 대한 평가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intact PTH)을 측정해야 하고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증거에 대해 확인해야 합니다.

  3. 만성신질환 3단계에서는 매 12개월마다, 4단계에서는 매 3개월마다

     혈청 칼슘, 인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측정합니다.

     5단계에서는 칼슘과 인을 매 1개월마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매 3개월마다 측정합니다.

     측정결과가 목표 범위를 벗어나서 치료 중일 때에 더 자주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만성 신질환 3단계: 사구체 여과율 30-59ml/min/1.73²

                   4단계: 사구체 여과율 15-29ml/min/1.73²

                   5단계: 사구체 여과율 < 15ml/min/1.73²

 

Ⅱ. 혈청 인 및 인결합체

  1. 만성 신질환 3,4단계: 공복 혈청 인을 검사실 정상 기준 범위로 유지

                         합니다.

  2. 만성신질환 5단계: 투석전 공복 혈청 인을 3.5 - 5.5mg/dl로 유지합니

     다.

  3. 혈청 인이 목표 범위 이상인 경우 인 결합체를 사용합니다.

  4. 만성 신질환에서 혈청 칼슘치가 정상 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칼슘 성분 인결합체의 사용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혈청 인 증가는 전체 사망률 및 심혈관계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혈청 칼슘치가 정상범위를 넘거나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치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칼슘 성분 인 결합제의 사용 중지

        를 고려해야 합니다.

 

Ⅲ. 혈청 칼슘

     만성 신질환 3. 4. 5단계: 혈청 칼슘을 검사실 정상 기본 범위로 유지

     합니다.

     ☎ 혈청 칼슘 증가는 전체 사망률 증가와 관계가 있습니다.

 

Ⅳ. 혈청 칼슘 X 인

     만성 신질환 3, 4, 5 단계: 혈청 칼슘과 인의 곱을 55mg²/dl²

                              미만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 목표치 이상에서 전체 사망, 심혈관계 사망 및 부갑상선 절제술의

       상대 위험도가 증가 하였습니다.

 

 

Ⅴ. 부갑상선 호르몬

     만성 신질환 단계별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는 다음과 같이 유지 합니

     다.

     3단계: 35 - 70 pg/ml

     4단계: 70 - 110pg/ml

     5단계: 150 - 300 pg/ml

     ☎ 투석전 신질환 3, 4, 5단계 환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치 증가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Ⅵ. 비타민 D치료

  1. 투석환자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시 비타민 D 치료를 시행합니다.

  2. 혈청 칼슙이나 인의 목표 범위를 넘을 경우 혈청 칼슘 X 인의 증가와

     혈관 및 연부조직 석회화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타민 D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34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3 2766
3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344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79
34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34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4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34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 3) 경동맥 내막매질 두께와 플라크의 임상적 응용 김병광 2018.03.14 2805
3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6) 비만의 약물요법 김병광 2017.06.05 2808
33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3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김병광 2017.05.23 2824
33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Ⅵ. 폐외 결핵 김병광 2016.10.03 2832
3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2) 비만 치료 전 준비 김병광 2017.05.26 2845
3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김병광 2017.06.02 2850
333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5) 제2형 당뇨병의 약물치료 김병광 2017.05.06 2851
3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3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3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2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김병광 2017.05.11 2858
3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