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8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이상지혈증의 검사

  1. 만성 신질환을 가진 환자는 모든 이상지형증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2. 야간 공복상태에서 검사해야 하며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검사 합니

     다.

  3. 만성신질환 5단계에는고지혈증 치료제 사용 또는 변경 2-3개월 후

     지질검사를 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는 적어도 매년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 만성신질환 5단계: eGFR 15미만으로 혈액투석이나 신이식을 해야

                         하는 경우을 말합니다.

  4. 혈액투석 환자는 투석전 또는 투석 받지 않는 날(투석 12시간 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5. 혈액투석 후 3개월 째, 9개월 째 지질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6. 만성신장 5단계 환자는 이상지혈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이차적인 원인

     에 대한 검사나 조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7.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400mg/dl이하이면

     프리드발트공식(Friedwalt formular: LDL 콜레스테롤 = 총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으로 계산하고

     중성지방이 400-800mg/dl 사이이면 LDL콜레스테롤은 직접측정합니다.

     ♥ 직접 측정하면 검사가 들거든요!

  8. 이식 후 첫 6개월간 적어도 1번 및 1년 후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검사 받는 게 좋습니다.

     ① 이후 저위험군 정상치 환자는 총콜레스테롤만 매년 측정받는게

        좋습니다.

     ② 이후 경계성 이상의 지질 이상이 있는 환자는

        매년 공복 지질 검사를 받는게 좋습니다.

  9. 지질 강하제 치료를 받거나 지질에 영행을 줄 수 있는 변화가 있는

     경우 또는 이식 신장기능이나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이 변 할 경우

     2-3개월 후 검사를 받는게 좋습니다.

 10. 지질 강하제 복용 후 에는 매 6주마다 측정하고

     목표 혈청 농도에 도달 한 후에는 매 4-6개월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11. 이상 지혈증이 있는 경우 2차적 원인으로

     내당능 장애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폐쇄성 간질환, 알코올 남용 또는

     고밀도콜레스티롤(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의 사용 여부를 조사 해야 합니다

 12. 수술 직후 등 지질의 농도에 영행을 줄 수 있는 신체적 상황에서는

     검사를 받지 않는 게 좋습니다.

 13. 동반질환이 없는 총 콜레스테롤이 150mg/dl 이하이면

     영양 실조 가능성이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1. 서론 김병광 2018.02.08 2049
34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34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4) ASSIST 5) ARRANGE 3. 요약 김병광 2018.02.11 2083
34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3) AGREE 김병광 2018.02.11 2084
34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34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1) 신체활동을 평가하기(ASSESS) 김병광 2018.02.08 2069
34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 2) ADVISE (5) 특정 환자 군에서의 주의점 김병광 2018.02.10 2067
34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33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33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2) 음주문제 선별 김병광 2018.01.30 2090
33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6) 음주 문제 및 상담치료 7) 음주 문제 환자의 의뢰 김병광 2018.02.05 2091
33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33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1. 서론 2. 본론 1)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김병광 2018.01.30 2046
33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33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4 2065
33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5 2072
33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2) 니코틴 의존도 평가 김병광 2018.01.21 2046
33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1) 금연진료지침 김병광 2018.01.21 2054
32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32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