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고혈압의 측정

  1. 가능한 환자가 측정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2. 활동중 혈압측정은 다음의 경우에 고려해야 합니다.

     백의 고혈압 의심시, 저항성 고혈압, 항고혈압제 투약시 저혈압 증상,

     간헐적 고혈압, 자율신경장애

 

Ⅳ. 신동맥질환 평가

  1. 임상적으로 신동맥질환이 의심되면 다음 중 한 가지 이상 시행합니다.

     ① 임상적 특징에 따른 예측도를 이용하여 신동맥질환에 대한 확률을

        예측합니다

     ② 비침습성 선별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③ 진단과 평가를 위해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해야 합니다.

  table 1. 만성신질환과 고혈압의 원인으로서 신동맥질환을 의심할 상황

 1. 고혈압 발병연령 < 30세 또는 > 55세

 2. 고혈압의 급격한 발병

 3. 이전에 잘 치료되던 고혈압의 악화

 4. 저항성 고혈압

 5. 악성고혈압

 6. 고혈압성 망막증의 악화

 7. 복부잡음

 8. 전반적 동맥경화증의 증거

 9. 신장크기의 비대칭

10. ACEI 또는 ARB 약물 사용 후 급성신부전

 

 2. 혈역학적으로 의미있는 신동맥질환자는 치료를 위해 신장전문의에게

    의뢰해야 합니다

  ☎ 1) 신동맥질환은 만성신질환과 고혈압의 원인 중의 하나로

        당뇨병성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 신이식환자의 만성 신질환에서

        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신동맥질환은 고혈압과 만성 신질환의 가역적인 원인질환 중의

        하나로서, 의심는 임상상황에서 선별검사를 통하여 진단합니다.

     3) ACEI 또는 ARB 약물 사용 후 사궃 여과율의 감소가 30%이상인 경우

        신동맥 질환을 의심합니다.

     4) 비침습성 선별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종류: 도플러 초음파 검사, 경구용 captopril 검사,

                 captopril 신장동의원소 검사,

                 C-T 혈관촬영(CTA), MR혈관촬영(MRA)

        ② CTA와 MRA은 신동맥의 해부학적인 협착확인에 유용합니다.

        ③ 도플러 초음파는 조염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동맥혈관의

           해부학적 기능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비만환자에게 시행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사자에 의존적입니다

        ④ captopril 신장동의원소 검사는 신기능이 유지되는

           일측성 신동맥질환에서 민감도, 특이도가 높으나 해부학적 평가

           는 되지 않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1. 서론 김병광 2017.05.04 2645
366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4) 자기관리교육 김병광 2017.05.05 2647
365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5.02 2656
364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2. 본론 2) 당뇨병 전단계환자의 관리 김병광 2017.05.04 2665
36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관련검사 Ⅱ. 경동맥 초음파 검사- 2. 본론2) 경동맥 초음파 측정방법 김병광 2018.03.06 2674
362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3) 고혈압 관리 김병광 2017.04.25 2677
361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Ⅶ. 소어청소년 결핵 2. 소아청소년 결핵의 진단 김병광 2016.10.03 2703
360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1)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김병광 2017.05.11 2703
359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혈당조절 김병광 2017.05.04 2705
35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1) 진단 및 선별검사 김병광 2017.05.04 2710
35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2. 간 질환 환자의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12
35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3. 신부전환자의 결핵치료 김병광 2016.09.29 2735
3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35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5) 비만의 행동치료 김병광 2017.06.04 2740
353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Ⅳ.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1. 임신 및 모유 수유 시 결핵 치료 김병광 2016.09.28 2741
352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7 2741
35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09 2743
350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5) 치료약제는 언제까지? 김병광 2017.05.23 2747
34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3) 비만의 식사요법 김병광 2017.06.01 2761
34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6) 동반된 심혈관 위험요소의 관리 김병광 2017.05.06 27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