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1. 사구체여과율(GFR) 30mg/min/1.73m²이하인 경우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만성신질환 1-3단계는 기본적으로 주치의가 치료를 계속하되

     다음의 경우 조기의 신장전문의에 소개, 연계하여 치료방침을 검토해

     야 합니다.

     ① 사구체여과율(GFR) 50mg/min/1.73m²

     ② 단백뇨 ≥ 1g/일

     ③ 단백뇨와 혈뇨 모두 양성

     ④ 빠른 신기능 소실(명확한 이유 없이 4개월 동안 30%이상 감소)

     ⑤ 저항성 고혈압

     ⑥ 고캴륨혈증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1. 혈청 크레아틴(Scr), 연령, 성, 인종, 체격 등의 변수를 대입하여

     사구체여과율(GFR)을 추정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① 성인: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MDRD)공식,

              Cockcroft-Gault(CG)공식

     ② 소아: Schwart공식, Counahan-Barrat공식

  2. 검사실에서 혈청크레아틴(Scr)수치를 측정할 때 공식을 이용하여

     사구체 여과율도 같이 계산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3.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직접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크레아티닌청소율(Crcl)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비정상적인 근육량(사지절단, 마비, 근육질환)

     ② 비정상적인 체격(체질량지수(BMI) < 18.5kg/m²또는 > 30Kg/m²)

        로 너무 마르거나 너무 비만한 사람

     ③ 비정상적인 단백질 식이섭취:

        채식주의자, 보디빌더, 크레아티닌 보충제 복용

     ④ 임신

     ⑤ 정확한 사구에 여과율 측정이 필요할 때:

        신장공여자, 독성이 강한 약물 투여 시

 

Ⅴ. 단백뇨의 평가

  1. 단백뇨를 추적관찰을 위해 단회 요검체를 수집 이용해야 합니다.

  2. 단백뇨를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요를 수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3. 아침 첫 소변검사가 선호되나 불가피하면 임의의 시간에 수집한

     요검체도 가능합니다.

  4. 단백뇨나 알부민뇨 발견을 위한 집단검사 방법은 요 시험지 봉 검사로

     충분합니다.

     ① 요 시험지 봉 검사에서 양성(+1이상)인 경우 3개월 내 정량적 방법

        (단백/크레아틴비, 알부민/크레아티닌비)으로 확인해야합니다.

     ② 지속적 단백뇨는 1주에서 2주사이의 간격을 두고 실시한 3회 이상

        의 정량적 검사에서 2회 이상 양성이 나오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5. 만성신질환 환자에서 단백뇨의 추적 관찰은 정량적 방법으로 합니다.

  6. 성인 만성신질환 고위험군과 소아 당뇨환자에서 검진 시 요 알부민을

     측정해야 합니다.

  7.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단백뇨의 관찰은 요 알부민/크레아티닌 비를

    사용해야 하나 요알부민/크레아티닌 비가 높을 경우 (> 500-1000mg/dl)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66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65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464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463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3
462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61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60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3
459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58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57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6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55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4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Ⅳ. 정리 김병광 2013.11.28 8012
453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 김병광 2013.11.16 9789
452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Ⅰ장. 고혈압의 역학 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4. 고혈압의 관리현황 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김병광 2013.11.16 9000
451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측정 김병광 2013.11.16 8914
450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7750
449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Ⅱ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7.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3.11.16 9161
448 고혈압 2013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제Ⅲ장. 고혈압의 치료 10. 약물요법 김병광 2013.11.19 76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