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1. 사구체여과율(GFR) 30mg/min/1.73m²이하인 경우 신장 전문의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만성신질환 1-3단계는 기본적으로 주치의가 치료를 계속하되

     다음의 경우 조기의 신장전문의에 소개, 연계하여 치료방침을 검토해

     야 합니다.

     ① 사구체여과율(GFR) 50mg/min/1.73m²

     ② 단백뇨 ≥ 1g/일

     ③ 단백뇨와 혈뇨 모두 양성

     ④ 빠른 신기능 소실(명확한 이유 없이 4개월 동안 30%이상 감소)

     ⑤ 저항성 고혈압

     ⑥ 고캴륨혈증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1. 혈청 크레아틴(Scr), 연령, 성, 인종, 체격 등의 변수를 대입하여

     사구체여과율(GFR)을 추정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① 성인: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MDRD)공식,

              Cockcroft-Gault(CG)공식

     ② 소아: Schwart공식, Counahan-Barrat공식

  2. 검사실에서 혈청크레아틴(Scr)수치를 측정할 때 공식을 이용하여

     사구체 여과율도 같이 계산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3.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직접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크레아티닌청소율(Crcl)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비정상적인 근육량(사지절단, 마비, 근육질환)

     ② 비정상적인 체격(체질량지수(BMI) < 18.5kg/m²또는 > 30Kg/m²)

        로 너무 마르거나 너무 비만한 사람

     ③ 비정상적인 단백질 식이섭취:

        채식주의자, 보디빌더, 크레아티닌 보충제 복용

     ④ 임신

     ⑤ 정확한 사구에 여과율 측정이 필요할 때:

        신장공여자, 독성이 강한 약물 투여 시

 

Ⅴ. 단백뇨의 평가

  1. 단백뇨를 추적관찰을 위해 단회 요검체를 수집 이용해야 합니다.

  2. 단백뇨를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요를 수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3. 아침 첫 소변검사가 선호되나 불가피하면 임의의 시간에 수집한

     요검체도 가능합니다.

  4. 단백뇨나 알부민뇨 발견을 위한 집단검사 방법은 요 시험지 봉 검사로

     충분합니다.

     ① 요 시험지 봉 검사에서 양성(+1이상)인 경우 3개월 내 정량적 방법

        (단백/크레아틴비, 알부민/크레아티닌비)으로 확인해야합니다.

     ② 지속적 단백뇨는 1주에서 2주사이의 간격을 두고 실시한 3회 이상

        의 정량적 검사에서 2회 이상 양성이 나오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5. 만성신질환 환자에서 단백뇨의 추적 관찰은 정량적 방법으로 합니다.

  6. 성인 만성신질환 고위험군과 소아 당뇨환자에서 검진 시 요 알부민을

     측정해야 합니다.

  7.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단백뇨의 관찰은 요 알부민/크레아티닌 비를

    사용해야 하나 요알부민/크레아티닌 비가 높을 경우 (> 500-1000mg/dl)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923
266 결핵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김병광 2016.10.07 3617
265 고혈압 고혈압 1(고혈압이란? 혈압측정 방법 은?) 김병광 2011.05.02 18587
264 고혈압 고혈압 2( 고혈압 분류/고혈압의 표적장기란?/고혈압 약을 복용시 이점/고혈압 위험인자 등 등 김병광 2011.05.02 19535
263 고혈압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김병광 2011.05.02 21922
262 고혈압 고혈압 운동요법 김병광 2011.05.02 17093
261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1 김병광 2012.02.01 17735
260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평가 - 2 김병광 2012.02.02 15549
259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258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1 김병광 2012.02.11 16774
257 고혈압 고혈압의 약물요법 - 2 김병광 2012.02.12 16390
256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1 김병광 2012.01.28 15991
255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2 김병광 2012.01.28 15576
254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3 김병광 2012.01.28 14820
253 고혈압 고혈압환자의 생활요법 - 4 김병광 2012.01.28 15090
252 기타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김병광 2016.12.20 2970
251 기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김병광 2016.10.08 4990
250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김병광 2016.12.20 2765
249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김병광 2016.12.20 3288
248 기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김병광 2016.12.22 4387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