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by 김병광 posted Sep 05,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혈압성 콩팥병이란?

   고혈압성 콩팥경화증(혹은 사구체경화증)이라 하며

   고혈압 환자가 콩팥이 나빠질만한 다른 원인이 없을 때 고혈압성 콩팥병

   이라 합니다.

 # 혈압이 계속 조절되지 않으면 고혈압성 콩팥병이 생기며, 콩팥기능이

   감소하면 염분을 배설하지 못하고 축적되어 콩팥기능이 나빠질 수록

   혈압이 올라감니다. 즉 혈압이 높아지면 콩팥이 손상되어 기능이 떨어지

   고 반대로 콩팥에 질병이 생기면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아 고혈압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고혈압은 콩팥질환의 원인이 동시에 결과입니다.

 

Ⅱ. 고혈압의 콩팥병의 위험요소는 무엇인가요?

   1) 사구체 경화: 고혈압으로 인해 사구체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사구체에 이상을 일으켜 고혈압성 콩팥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세뇨관과 세뇨관 세포의 변화: 고혈압으로 인해 혈액과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면 세뇨관이 위축되며, 세뇨관 세포가 기능을 상실하고

      섬유세포로 변하는 섬유화가 심해지면 단백뇨가 증가하고 결국 콩팥

      기능이 나빠짐니다.

Ⅲ. 고혈압성 콩팥병의 증상은 어떠한가요?

    초기에는 혈압이 높아지는 것 외에는 증상이 없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콩팥기능이 50% 이상 상실되도 별다른 증상이 없어 심각한 상태에

    되어야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은 일반적인 만성콩팥병의 환자와 같습니다.

  # 만성콩팥병의 증상

    1) 부종, 고혈압: 발, 발목, 다리 등이 부어오르고 혈압이 올라갑니다.

    2) 요독증: 과다한 뇨산 및 질소노폐물이 혈액내에 싸여 식욕저하,

               구역, 구토, 신장부근의 부종, 신경문제, 정신상태의 변화,

               졸음, 발작, 혼수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전해질 이상: 전해질은 생체기능을 조절하는되 혈액 속에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는 콩팥의 기능이 악화되어 전해질 양에

              이상이 생김지다.

    4) 대사성 산증: 중탄산염 생성이 감소되어 대사성 산증이 나타납니다.

    5) 빈혈: 적혈구 생산을 톡진시키는 조혈호르몬의 합성능력이 감소하여

             빈혈이 생기고 피로감을 느낌니다

    6)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Ⅳ. 고혈압성 콩팥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콩팥 손상은 소변검사의 침사 이상, 단백뇨, 사구체 여과율 감소로

    확인합니다.

    혈중 크레아틴은 사구체 여과율을 계산하는데 이용됩니다.

    1) 병력확인 및 진찰: 고혈압에 관련된 증상과 안정된 상태에서 여러번

                        혈압을 측정합니다.

    2) 검사

      ⑴ 소변검사: 혈뇨 또는 단백뇨나 미세알부민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⑵ 혈액검사: 사구체여과율로 만성콩팥병의 단계를 정합니다.

         그 외 혈중요소질소(BUN), 혈청 알부민, 빈혈, 혈중지질 농도,

         전해질 등의 검사를 합니다.

      ⑶ 콩팥 초음파, 전산단층촬영(CT): 콩팥크기, 신결석, 종양유무,

         구조적 이상을 확인합니다.

 

Ⅴ. 고혈압성 콩팥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철저한 혈압조절이 중요하며, 기본적으로 비약물 치료도 함께합니다.

    1) 혈압 치료 목표는 130/80mgHg이하입니다.

    2) 생활습관 개선: 비만, 고지방과 고염분 및 저캴륨 식사, 운동부족,

                     흡연 및 음주 등의 위험인자를 줄입니다.

    3) 약물치료: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

                이뇨제, 캴슘채널차단제 등 다양한 약을 사용합니다.

 

Ⅵ. 주의 사항

   1) 전산단층촬영을 할 때 투여하는 조영제는 콩팥 기능을 급성으로 악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는 마른기침이

      나 혈관부종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캴륨배설을 억제하여 고캴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Ⅶ. 건강유지를 위한 조언

    고혈압성 콩팥병의 발생의 최선의 예방책은 고혈압 발생을 예방하는 것

    입니다.

    1) 식습관개선, 저염분, 저지방식이와 함께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합

       니다.

    2) 규칙적인 운동, 적정체중 유지, 금연은 기본입니다.

    3) 고혈압 환자는 생활습관 교정을 기본으로 한 약물치료로 혈압을

       철저히 조절해야 합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