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2.07.10 04:55

당뇨병성 콩팥병

조회 수 1427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당뇨병성 콩팥병이란?

   당뇨병으로 인하여 콩팥이 손상되는 합병증을 당뇨병성 콩팥병이라 하며,

   당뇨병을 오래 앓은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제 때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 콩팥기능이 완전히 망가져 투석이나 콩팥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당뇨병성 콩팥병의 위험요소는?

   ① 당이 잘 조절되지 않아 혈당이 높을 때

   ② 과체중 혹은 비만

   ③ 고혈압

   ④ 흡연

   ⑤ 콩팥질환,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의 가족력

   ⑥ 단백뇨 및 미세알부민뇨

 

3. 당뇨병성 콩팥병의 증상은?

   당뇨병성 콩팥병은 대부분 증상이 없다가 말기에 이르러서 증상이 나타남니다. 증

   상이 나타나면 치료가 늦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① 가장 흔한 증상은 고혈압과 부종이며, 그 외 콩팥 동맥 경화증과

      단백뇨(콩팥 증후군)증상이 나타남니다.

   ② 거품이 있는 소변, 부종으로 인한 체중증가

   ③ 식욕부진, 구역, 몸살기운, 피로, 두통, 잦은 딸꾹질, 전신 가려움증 등

   ④ 당뇨병 망막증의 시간에 지나면서 악화

   ⑤ 당뇨병으로 인한 다른 합병증의 비율 증가

 

4. 당뇨병성 콩팥병의 진단은?

   콩팥 기능검사로

   ① 미세알부민뇨 검사: 콩팥 합병증의 초기에 평가하는 되 매우 유용한 검사로

      제1형 당뇨병환자는 당뇨병이 진단된 후 5년이 지나면 매년 1회 정기적으로

      소변검사를 합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진단받은 시점부터 매년 1회 정기적으로 소변 검사를

      합니다.

   ② 혈청 크레아티닌을 매년 측정해야 합니다. 혈청크레아티닌 농도만으로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것보다는 사구체여과율을 계산하여 만성신장질환

     의 병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단계

       내 용

     사구체 여과율

   (eGFR(mL/min/1.73 m²)

1

      알부민뇨

      정상 eGFR

           ≥90

2

      알부민뇨

      경증 eGFR 감소

           60-89

3

      중등도

      eGFR 감소

           30-59

4

      중 증

      eGFR 감소

           15-29

5

   말기콩팥병(투석이나

   신장이식이필요함)

 

        <15 (or 투석)

 

 

5. 당뇨병성 콩팥병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

   당뇨병성 콩팥병의 치료는 혈당조절과 혈압관리가 핵심입니다.

   ① 혈당조절: 대부분 환자의 혈당은 당화혈색소 7.0% 이하지만 목표치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② 혈압관리: 당뇨환자의 고혈압 치료 목표는 130/80mmHg이지만

      단백뇨가 있는 경우는 125/75mmHg까지 더 엄격히 조절하기도 합니다.

      혈압약은 ACE 억제제 또는 ARB를 주로 사용합니다.

   ③ 식이조절

      단백질 섭취제한 - 단백뇨가 있는 경우 콩팥기능을 보존하기 위하여

                       단백질섭취를 일부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질 조절: 지질 조절도 같이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6. 주의 사항

   당뇨병성 콩팥병을 가진 환자는 통팥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방사선 조영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COX-2 억제제 등의

   약물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임신을 계획 중인 경우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7. 건강유지를 위한 조언

   ① 섭취하는 나트륨(소금)의 양을 제한해야 합니다

   ② 흡연자는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➂ 과체중이거나 비만 환자는 체중을 줄이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합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분류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5.07.25 6182
36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예방 김병광 2015.07.25 5747
36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58
36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2
36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치료제 김병광 2015.07.27 5593
36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김병광 2015.07.28 5740
36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89
36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백신 접종 김병광 2015.07.27 5823
35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운동요법 김병광 2015.07.27 5983
35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62
35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591
35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김병광 2015.07.26 5788
35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목표 김병광 2015.07.26 5959
35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① 김병광 2015.07.30 10097
35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 신증 ② 김병광 2015.07.30 6944
35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김병광 2015.07.30 5919
35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김병광 2015.07.30 7021
35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김병광 2015.07.31 6661
34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Ⅲ. 당뇨병과 합병증: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5.07.29 6007
34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Ⅳ. 당뇨병과 특수상황: 노인 당뇨병 김병광 2015.08.01 6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