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7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

   1) 환자의 약제 순응도를 우선 확인 후 규칙적인 약제복용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돌파가 발생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내성검사를 받아야 합

      니다.

   2) 내성 치료는 바이러스 돌파가 관찰되고 우전자형 내성이 확인되면

      가급적 빨리 시작해여 합니다.

   3) 추가적인 내성 발생을 막기 위해 연속적인 단일 약제처방을 피해야

      하고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nucleoside 약제(라미부딘, 텔미부딘,

      클레부딘, 엔테카비어) 한가지와 nucleotide 약제(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 한 가지를 병합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약제별 내성 치료

   1) 라미부딘내성에 대한 치료 방법

      ⑴ 라미부딘에 아데포비어를 추가 합니다.(A1)

      ⑵ 라미부딘에 테노포비어를 추가합니다.(B1)

      ⑶ 라미부딘을 중단하고 아데포비어 혹은 테노포비어와 다른   

         nucleoside 유사체를 병합 투여합니다.(C1)

      ⑷ 테노포비어로 대체를 고려합니다.(B2)

      ⑸ 간기능이 양호한 경우 라미부딘을 중단하고 페그인터페론 투여를

         신중히 고려할 수 있습니다.(B2)

   ☎ 교체시기는 바이러스 돌파가 관찰되고 내성바이러스의 존재가 확인되

      면 ALT(GPT) 상승전에 다른 항바이러제를 추가 또는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텔비부딘 내성에 대한 치료 방법

      라미부딘 내성 발생시 치료방법에 준합니다.

   3) 클레부딘 내성에 대한 치료 방법

      라미부딘 내성 발생 시 치료방법에 준합니다.

   4) 아데포비어 내성에 대한 치료방법

      ⑴ 라미부딘에 내성을 보여 아데포비어를 사용한 경우

         ➀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nucleoside 유사체

            (라미부딘 또는 엔테카비어)를 병합합니다

         ➁ 아데포비어에 엔테카비어 1mg 추가를 고려합니다.

      ⑵ 초 치료로 아데포비어를 사용했던 경우

         ➀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nucleoside 유사체

            (라미부딘 또는 엔테카비어)를 병합합니다.

         ➁ nucleoside 유사체를 추가로 고려합니다.

            이때 rtA181T 변이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엔테카비어 병합이

            선호됩니다.

   5) 엔테카비어 내성에 대한 치료방법

      엔테카비어에 nucleotide유사체(아데포비어 또는 테노포비어)를

      추가 합니다.

   6) 테노포비어 내성에 대한 치료방법

      테노포비어에 대한 임상 보고서는 매우 드물습니다.

   7) 다약제 내성에 대한 치료방법

      다약제 내성이란 다른 계열의 두 가지 이상 약제에 대한 내성변이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입니다.

      ①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에 대한 내성변이가 동시에 존재할 때

         테노포비어와 엔테카비어의 병합요법이나 아테포비어와

         엔테카비어 1mg를 병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② 라미부딘, 엔테카비어, 아데포비어에 대한 동시 내성과 같이

         여러 약제에 의해 다양한 내성 변이가 존재하는 경우

         테노포비어와 엔테카비어 1mg 병합치료를 고려합니다.

 

* 2014년 대한 간학회 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개정안)

라미부딘 내성환자

테노포비르 단독 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에 테노포비르를 병합치료한다

클레부딘, 텔비부딘

내성환자

클레부딘.텔미부딘 내성은 라미부딘

내성에 준함

엔테카비르 내성환자

테노포비르 단독 또는 테노포비르와 엔테카비르 병합 치료를 고려한다

아데포비어 내성(라비부딘 내성 및 초치료 환자)

테노포비르 단독 또는 테노포비르와 엔테카비르 병합 치료를 고려한다

다약제 내성

테노포비르 단독 또는 테노포비르와 엔테카비르 병합 치료를 고려한다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2
466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65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4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1 김병광 2012.01.21 19391
463 기타 항암식품 김병광 2012.01.16 18176
462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김병광 2012.02.22 17024
461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6. 여성의 고혈압 7.대사증후군과 고혈압 1 김병광 2012.02.22 16083
460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5. 노인의 고혈압 3 김병광 2012.02.20 16243
459 고혈압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2.당뇨병과 고혈압 3. 신장병과 고혈압 4 김병광 2012.02.14 17328
458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Ⅷ.혈청요산농도의 추적관찰과 요약 김병광 2016.09.23 2821
457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Ⅵ. 급성통풍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 김병광 2016.09.23 2737
456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Ⅴ. 급성통풍발작의 약물적 치료 김병광 2016.09.22 2880
455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Ⅳ. 무증상고요산혈증의 치료 김병광 2016.09.21 2542
454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2. 통풍의 교육 김병광 2016.09.21 2787
453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Ⅲ. 통풍환자의 기본적인 치료원칙 1. 진단 김병광 2016.09.21 2852
452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Ⅰ. 서론 김병광 2016.09.21 2518
451 기타 통풍관리의 최신지견 Ⅶ. 통풍환자에서의 요산저하치료 김병광 2016.09.23 3416
450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정리) 4 김병광 2011.12.08 14486
449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6 2 김병광 2011.12.07 14360
448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5 김병광 2011.12.05 13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