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5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항바이러스 치료 전 모니터링

  1) 만성 B형간염(HBeAg 양성 또는 음성)

     ⑴ AST/ALT가 정상인 경우에는

        간기능 검사및 real-time PCR법에 의한 혈청 HBV DNA를 2-6개월

        HBeAg과 anti-HBe를 6-12개월 간격으로 검사 받는 것이 좋습니다.

     ⑵ AST/ALT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간기능 검사를 1-3개월

        HBeAg, anti-HBe와 혈청 HBV DNA를 real-time 법으로 2-6개월

        간격으로 검사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2) 대상성 간경변증

     간기능검사를 2-6개월

     HBeAg, anti-HBe와 real-time PCR 법으로 혈청 HBV DNA를 2-6개월

     간격으로 검사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3) 비대상성 간경변증

     간기능 검사를 1-3개월

     HBeAg, anti-HBe와 real-time PCR법으로 혈청 HBV DNA를 2-6개월

     간격으로 검사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2. 항바이러스 치료 중 모니터링

   1) 경구용 항바이러스 치료 중에는

      간기능 검사 및 real-time PCR법으로 혈청 HBV DNA를 1-3개월 간격

      으로 검사하고

      HBeAg, anti-HBe는 3-6개월 간격으로 검사받은 것이 좋습니다.

   2) 페그인터페론 치료중에는

      CBC(전혈구 계산) 및 간기능 검사를 매월 받아야 하고 

      real-time PCR법에 의한 혈청 HBV DNA를 1-3개월 간격으로 검사하고

      HBeAg, anti-HBe는 치료 시작 후 6개월, 1년, 치료 종료 6개월 후

      측정 받는게 좋습니다.

   3) 완전 바이러스 반응이 확인된 후에는

      real-time PCR법에 의한 혈청 HBV DNA를 3-6개월 사이에 측정 할 수

      있고

      HBeAg 혈청소실이 이루어지면 2-3개월 후 재확인합니다.

   4) 경구용 항바이러스 치료 중에 바이러스 돌파가 발생하면

      환자의 약물 순응도 확인 및 약제내성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 바이러스돌파란?

      항바이러스 치료 중 바이러스 반응에 도달했다가 이후 혈청 HBV DNA

      가 최저치에서 10배 이상 즉 1log 이상 증가했을 때로 정의되고

      대부분 원인은 약제내성 바이러스인 것으로 돼 있습니다.

   5) 항바이러스 치료 시 각각의 약물 부작용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

      니다.

 

3. 항바이러스 치료 후 모니터링

   치료반응의 지속 및 재발여부, 간기능의 상태를 알기 위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1) 항바이러스 치료 종료 후

     1년간은 - 간기능검사 real-time PCR법에 의한 혈청 HBV DNA 측정을

     1-3개월 간격으로 하고 HBeAg, anti-HBe는 3-6개월 간격으로 검사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1년이 경과한 후 에는 - 간기능검사, real-time PCR법에 의한 혈청

     HBV DNA 측정을 3-6개월 간격으로 검사하여 재발하는지 추적 관찰해야

     합니다.

  2) 간세포암종의 조기발견을 위해 복부초음파검사와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4. 치료종료

  1) HBeAg 양성 만성간염

     ⑴ 페그인터페론 알파는 48주 받아야 합니다.

     ⑵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는 HBV DNA 음전 및 HBe 소실 또는

        혈청 전환이 이루어지면 이후 최소한 12개월 이상 복용해야 합니

        다.

  2) HBeAg 음성 만성 B형간염

     ⑴ 페그인터페론 알파는 적어도 48주 투여 받아야 합니다.

     ⑵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의 적절한 치료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으면   

        HBeAg의 소실이 보일 때까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간경변증의 경우 장기간의 치료가 권장됩니다.

     ⑴ 대상성간병변증의 경우

        ➀ HBeAg 양성인 경우 HBeAg의 혈청전환 후에도 적어도 12개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추가 투여 후 에 중단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➁ HBeAg 음성이면 HBsAg 혈청소실 후 투약 중단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⑵ 비대상성 간경변인 경우 간이식을 고려하면서 장기간 치료가 필요

        합니다.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초상식 - 4

  2.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Ⅲ. 질환병 예방접종 2. 면역저하자

  3.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4.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5.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6.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7.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8. 고혈압성 콩팥병

  9.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10.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11.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12.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13.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14.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15. Ⅱ. B형간염의 예방

  16.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7.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18.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19.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20.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