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2012.05.11 14:13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조회 수 122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대상성 간경변증

   만성B형간염 환자에서 장기간 경구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한 바이러스

   증식억제는 간내 염증뿐 아니라 간섬유화를 호전 시키며

   비대상성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의 발생을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미국과 유럽 가이드라인에서는 초 치료 약제로

   엔테카비어 또는 테노포비어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권고사항

     ➀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혈청 HBV DNA ≥ 2,000IU/mL인 경우에는

        ALT/AST와 관계없이 치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➁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권장되며

        일반적으로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치료효과, 부작용 및

        내성발현 등을 고려하여 만성B형간염 치료원칙에 따라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➂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기능이 좋은 경우엔

        간기능 악화와 약물 부작용 등을 주의하며 신중하게 페그인터페론

        알파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비대상성 간경변증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기관에서 치료받는 것이 좋으며

   간이식 대상이므로 간이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 권고사항

     ➀ 비대상성 간경변환자는 혈청 HBV DNA 가 PCR검사 양성이라면

        AST/ALT에 관계없이 신속히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➁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항 바이러스제 선택은

        바이러스 억제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며 내성발현률이 적은

        약제가 권장되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들의 장기적인 효과와 안전성

        에 대한 자료는 아직 부족합니다.

     ➂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인터페론/페그인터페론 치료는 간부전

        위험 때문에 사용은 금기입니다.

     ➃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간이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초 치료 환자의 병합요법

   미국과 유럽에서는 초 치료에서 장기간 항바이러스요법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서 내성 발현율이 높은 약제(라미브딘, 텔미부딘 등)를

   사용 할 수밖에 없는 경우 내성발현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른 계열의

   약제(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와 병합하는 방안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내성발현률이 낮은 약제의 경우 병합요법이 단독요법보다 내성발현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데이터가 없습니다.

 

  ◎ 권고사항

     초 치료 환자에서 두 가지 이상 약제의 병합요법이 단독요법에 비하여

     더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는 아직 없으므로

     초 치료 환자에서 병합요법을 권장되지 않습니다.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 B형 간염 4 김병광 2013.03.25 10841
12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125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9. 대상포진 3 김병광 2013.04.19 11019
12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123 소화기질환 Ⅳ.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1 김병광 2013.10.15 11093
122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6. 수두 김병광 2013.05.07 11196
12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3. 해외여행자 김병광 2013.05.31 11296
12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11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11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117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116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115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114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113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김병광 2011.11.15 12231
»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11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110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김병광 2011.11.18 12309
10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108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