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2012.05.11 04:56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조회 수 1191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치료약제

  1) 라미부딘   2) 텔미부딘   3) 클레부딘     4) 아데포비어

  5) 엔테카비어 6) 테노포비어 7) 엠트리시타반 8)페그인터페론등이

  있습니다.

 

2. 치료전략

  1) 만성 B형간염

     약물의 선택은 약물의 효과, 안전성, 내성의 위험도, 비용과 함께

     의사의 선호도, 임신계획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라미부딘과 텔미부딘은 장기치료시 내성발현이 높아 선호되지 않습니

     다.

     클레부딘은 아직 장기간 추적 관찰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아데포비어는 항바이러스 효과가 약하고 1년 이상 사용시 내성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엔테가비어와 테노포비어는 강력한 항 바이러스효과와 낮은 내성발현

     율을 보이는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페그인터페론은 인터페론보다 사용이 편리합니다.

     그러므로 만성B형 초 치료는 엔테카비어, 테노포비어, 페그인터페론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권고사항

   면역 관용기는 치료대상이 아니며 만성B형간염에서는 간기능 이상이

   있어도 자연적 HBeAg 혈청전환 가능성이 있고, 혈청AST(GOT), ALT(GPT)

   가 일시적으로 증가 후 정상으로 안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는 환자 중 상당수에서 장기간 투여가

   필요하며, 고비용과 약제내성 발현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항바이러스

   투여시점을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⑴ HBeAg 양성 만성간염

      ➀ 혈청 HBV DNA ≥ 20,000IU/mL 경우

         AST(GOT) 혹은 ALT(GPT)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이거나

         간생검에서 중등도 이상의 염증 괴사 소견 혹은 문맥주변부 섬유

         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자연적 HBeAg 혈청 전환 가능성이 있으므로 3-6개월 경과 관찰 후

         치료여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황달, 프로스롬빈시간의 연장, 간성 혼수, 복수 등 간부전

         이 발생하거나 우려되는 경우 즉각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➁ 혈청 HBV DNA ≥ 20,000IU/mL이고 AST 혹은 ALT가 정상상한치의

         1-2배 사이의 경우, 추적관찰 하거나 또는 간생검을 시행하여

         중등도 이상의 염증괴사 소견 혹은 문맥주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➂ 초치료 약제는 엔테카비어, 테노포비어, 페그인터페론 알파중

         하나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의 항바이러스제들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으리라고 예상되

         는 경우 투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치료 반응에 따라 약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변경여부를 결정해

         야 합니다.

    ⑵ HBeAg 음성 만성간염

      ➀ 혈청 HBV DNA ≥ 2,000IU/mL인 경우

         AST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이거나

         간생검에서 중등도 이상의 염증괴사 소견이나 문맥부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➁ 혈청 DNA ≥ 2,000IU/mL이고 AST가 정상 상한치의 2배 미만인

         경우, 추적관찰하거나 또는 간생검을 시행하여 중등도 이상의

         염증괴사 소견 혹은 문맥주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➂ 초치료 약제로는 엔테카비어, 테노포비어, 페그인터페론 알파 중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 외의 항바이러스제들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으리라고 예상되

         는 경우 투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치료 반응에 따라 약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변경 여부를 결정

         해야 합니다.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 B형 간염 4 김병광 2013.03.25 10841
126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김병광 2012.12.21 10934
125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9. 대상포진 3 김병광 2013.04.19 11019
124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김병광 2012.12.03 11062
123 소화기질환 Ⅳ.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1 김병광 2013.10.15 11093
122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16. 수두 김병광 2013.05.07 11196
12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Ⅳ. 직업/상황별 예방접종 3. 해외여행자 김병광 2013.05.31 11296
120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김병광 2012.11.26 11388
119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Ⅰ. 성인 예방접종의 특성 김병광 2013.03.22 11645
118 만성 신질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혈당조절 지침 Ⅰ. 당뇨병의 선별검사 Ⅱ . 당뇨병의 진단기준 Ⅲ. 당뇨병성 만성 신질환의 혈당 조절 목표 김병광 2013.01.11 11677
»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3 김병광 2012.05.11 11911
116 기타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김병광 2012.10.25 11982
115 B형간염 Ⅱ. B형간염의 예방 김병광 2012.05.03 12210
114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김병광 2012.06.09 12222
113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1. 김병광 2011.11.15 12231
112 B형간염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김병광 2012.05.11 12240
111 기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Ⅱ. 감염병별 예방접종 7.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김병광 2013.04.08 12274
110 천식 천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안내서 - 3 김병광 2011.11.18 12309
109 B형간염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김병광 2012.06.12 12347
108 기타 고혈압성 콩팥병 김병광 2012.09.05 1252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