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9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면밀한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동시 감염, 음주력, 약물 복용력 및 HBV간염과 간세포암종 가족력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2. CBC, AST(GOT)/ALT(GPT),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스(AKT), 감마 지티피  

   (GTT), bililubin, 알부민, 크레아티닌, 프로스롬빈 타임(PT) 을

   포함한 혈액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3. HBV 증식 표식자로 HBeAg/anti-Hbe, 혈청 HBV DNA 정량검사가 필요합니

   다.혈청 HBV DNA 검사는 real-time PCR이 추천됩니다.

4. HCV(C형간염)와의 중복감염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anti-HCV를 검사해

   야 합니다.

5. 50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A형간염 항체검사(IgG anti-HAV)를 받아야 합니

   다.

6. 간세포암종 선별검사로는 복부초음파, 혈청 알파태아단백검사를 해야

   합니다.

 

☎ 간세포암종 발생고위험군은

   - 40세 이상 B형간염 보균자 남성

     50세 이상 B형간염 보유자 여성

     간경변증 환자

     간세포암종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ALT(GPT)의 상승을 보이는 40세 이상 환자

     HBV DNA>2,000IU/mL이상인 40세 이상 환자 등입니다

 

만성B형간염 진단기준

  1.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 일 때

  2. HBeAg 양성 만성B형간염:

           혈청 HBV DNA ≥ 20,000IU/mL(≥ 10⁵ copies/mL)

     HBeAg 음성 만성B형간염:

           혈청 HBV DNA ≥ 2,000IU/mL(≥ 10⁴copies/mL)

  3. AST(GOT)/ALT(GPT)의 지속적인 혹은 간헐적인 상승

  4. 간조직검사 시 중등도 혹은 심한 염증괴사가 보일 때(선택사항)

비활동성 HBsAg 보균상태

  1.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 일 때

  2. HBeAg 음성, anti-HBe 양성

  3. 혈청 HBV DNA 〈 2,000IU/mL(〈 10⁴copies/mL)

  4. AST(GOT)/ALT(GPT)의 지속적으로 정상을 유지

  5. 조직검사 시 의미있는 염증괴사가 없는 경우(선택사항)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36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6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김병광 2017.06.08 2877
36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36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6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6) 비만의 약물요법 김병광 2017.06.05 2808
36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5) 비만의 행동치료 김병광 2017.06.04 2740
36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4) 비만의 운동요법 김병광 2017.06.02 2850
35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3) 비만의 식사요법 김병광 2017.06.01 2761
35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2) 비만 치료 전 준비 김병광 2017.05.26 2845
35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Ⅳ. 비만 2. 본론 1) 비만의 진단 및 평가 김병광 2017.05.24 2772
35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Ⅳ.비만 - 권고사항과 1. 서론 김병광 2017.05.23 2824
355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5) 치료약제는 언제까지? 김병광 2017.05.23 2747
354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4) 이상지질혈증 약제 사용지침 김병광 2017.05.23 2963
353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3) 이상지질혈증의 비약물치료 김병광 2017.05.14 3881
352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2)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요인 및 치료 목표 김병광 2017.05.12 3160
351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2. 본론 1)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김병광 2017.05.11 2703
350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1. 서론 김병광 2017.05.11 2858
349 콜레스테롤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Ⅲ.이상지질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5.07 2741
348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Ⅱ. 당뇨병 2. 본론 3. 근거가 불충분한 사항 김병광 2017.05.07 27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