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2012.05.03 20:10

Ⅱ. B형간염의 예방

조회 수 122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권고사항

  1. HbsAg 및 anti-HBs가 음성인 경우 B형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2. HBV 보유자에서 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3. HBV 보유자는 금연을 해야 합니다.

  4. HBV 보유자의 산모에서 출생아는 출생즉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5. HBV 보유자에게 A형간염 항체가 없는 경우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6. HBV 보유자는 전파 예방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1) HBsAg이 있으면

       ① 항체가 형성 안 된 가족들은 B형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② 부부 중 한사람이 HBsAg(+)이면 예방 안 된 사람은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③ 부부 중 한사람이 HBsAg(+)면 부부생활 할 때는 콘돔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④ 칫솔이나 면도기는 같이 사용하면 안됩니다.

       ⑤ 찢어진 상처는 덮어야 합니다.

       ⑥ 피가 흐르면 세제나 표백제(과산화수소 등)로 깨끗하게 닦아내야

         합니다.

       ⑦ 헌혈, 장기이식이나 정자제공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2) HBsAg이 양성인 사람은

       ① 학교생활, 탁아소 일,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활동은 할 수 있습니

          다.

       ② 음식이나 수저나 젓가락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③ 다른 사람과 키스 나 포옹도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2011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Ⅱ. B형간염의 예방

  2. Ⅲ. B형간염의 진단 및 초기 평가는?

  3. Ⅳ. 만성 B형간염의 치료 목표와 치료대상자는 ?

  4.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1

  5. Ⅴ. 치료 약제와 치료전략 - 2

  6. Ⅵ. 치료 중 어떠한 항목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치료종료는 언제하나?

  7. Ⅷ. 항바이러스 내성치료의 일반적인 원칙과 약제별 내성치료

  8. Ⅸ. B형간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 치료반응 대한 예측인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9.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1

  10. Ⅹ. 특정질환군에서의 치료 - 2

  11. 당뇨병성 콩팥병

  12. 고혈압성 콩팥병

  13. 만성콩팥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14. 만성 신질환의 평가와 분류 Ⅰ. 만성 신질환의 정의와 단계

  15.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Ⅱ. 만성 신질환의 검진대상

  16. 만성 신질환의 평가 및 분류 Ⅲ. 만성 신질환 환자의 신장내과 의뢰 권고안 Ⅳ. 사구체 여과율의 평가 Ⅴ. 단백뇨의 평가

  17.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1. 만성 신질환에서 고혈압의 치료목적 Ⅱ. 만성 신질환과 고혈압 환자의 평가

  18.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Ⅲ. 고혈압의 측정 Ⅳ. 신동맥질환 평가

  19. 만성 신질환환자에서 고혈압의 진료지침 Ⅴ. 만성신질환의 고혈압에서 식이요법과 생활습관개선

  20.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혈압의 치료지침 Ⅵ. 약물요법: 만성 신질환에서 항고혈압제의 사용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