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말초동맥질환의 중요한 인자는 고혈압, 당뇨, 흡연입니다.

   말초동맥지환은 광범위한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신혈관 질환을 동반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동맥질환 환자에서는 이들 질환에 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말초동맥질환에서 어떠한 특정한 고혈압 약이 우위에 있다는 것이 알려

   져 있지 않기 때믄에 약물선택은 필요한 적응증에 맞추어 정해야 합니

   다.

   베타차단제는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말초동맥질환의 증상을 더 빈번하게

   할 수 있으나 최근 연구 결과는 보행거리나 장딴지 혈류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이나우드(Raynaud)현상이 있는 경우에는 칼슘차단제가 사용될 수 있

   고, LDL콜레스테롤을 떨어뜨려 주는 것이 말초동맥질환 환자에서 심혈관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소아와 청소년기의 고혈압은 혈압을 반복측정 시 나이, 키, 성별로 95%

   이상의 혈압의 증가를 보일 때로 정의 합니다.

   주로 소아와 심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이차성 고혈압이

   더 흔합니다.

   만성고혈압은 보통 청소년기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보통 비만,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 고혈압이나 다른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과 연관성이

   많습니다.

   지속적인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소아에서는 심초음파를 포함한

   좌심실 비대의 발견을 위한 적절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모든 소아에서 생활습관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약물선택은 성인과 유사하지만 약물의 용량이 적어야 하고 또한 조절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소아에서 합병증이 없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을 때 운동만으로도 혈압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육제적 운동은 제한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비만, 운동부족, 흡연 등의 위험인자를 줄이도록 철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10. 발기부전과 고혈압

   발기부전은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흔하고 특히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서

   더욱 흔하게 발생합니다.

   여러 종류의 혈압약을 사용하는 것이 발기부전의 발생률을 증가시키며

   혈압하강 자체가 성기관의 혈액순환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

   발기부전의 발생빈도는 베타차단제나 이뇨제, 알파차단제의 사용으로

   증가된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차이가 없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항고혈압제를 사용한 개개인의 연령, 혈관질환 및 개개인의 호르몬 상태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니다.

   신체적으로 활동적이거나, 비만하지 않거나, 비흡연자에서는 발기부전의

   위험률이 낮습니다. 그러므로 생활 습관의 변화는 발기부전의 발생을

   억제 합니다.

   만약 항고혈압제를 시작했을 때 발기 부전이 관찰되면 그약을 중단하고

   새로운 약제를 사용합니다.

   발기부전 때 사용하는 비아그라 같은 것은 고혈압과 같이 사용 할수

   있지만 nitrate제제오 같이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고혈압 진료지침

 

☎ 지금까지 요약한 것은 2004년 대한 고혈압학회가 2003년 미국JNC-7을

   기초로 만든 "고혈압 진료지침"을 요약한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최신의 근거수준이 높은 연구결과를 반영하지 못하였으

   므로 계속 자료가 나올 때 마다 다시 올리겠습니다.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기타 무릎 퇴행성 관절염에서 운동처방(사진은 PPT 자료실 보시면 됩니다) 김병광 2011.05.02 30207
466 고혈압 혈압측정 3 김병광 2012.01.30 29104
465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464 기타 요통 운동요법(사진은 PPT 자료실 요통 운동요법 보시면 됩니다) 3 김병광 2011.05.02 24908
463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462 당뇨병 당뇨관리 1. 식사요법 - 식품교환표를 이용한 칼로리 계산법 김병광 2011.05.02 24499
461 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3 김병광 2012.01.21 23768
460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1
459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458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457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456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55 고혈압 고혈압 3(검사종류/표적장기 장애 찾는 방법/혈압약의 차이는?/생활습관 개선) 김병광 2011.05.02 21922
454 당뇨병 1. 당뇨병이란/ 2. 당뇨병 분류 5 김병광 2011.05.02 21824
453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52 기타 신체활동과 국민 5대 사망질환 예방 김병광 2011.05.02 21361
451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450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449 기타 운동요법2 김병광 2011.05.02 20922
448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