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심장질환에서의 고혈압

  1) 관상동맥질환

     혈압의 조절목표는 140/90mmHg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정성협심증은 우선적으로 추전되는 혈압약은

     베타차단제와 칼슘길항제입니다.

     칼슘길항제 중 속효성은 심근경색에서 사망률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안정성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및 심근경색 후에 죄심실 기능부전이

     합병되었을 때는 심부전증의 제발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ACE억제제 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베타차단제 및 알도스

     테론 길항제가 추천 됩니다.

  2) 죄심실비대

     죄심실비대의 퇴축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는

     혈압의 강하 정도입니다.

     약제는 ACE억제제, ARB 나 칼슘차단제가 다른 약제에 비하여

     죄심실비대를 효과적으로 경감 시킴니다.

  3) 심부전증

     ACE억제제와 ARB, 베타차단및 알도스테론 길항제가 심혈관 사망률을

     경감시키는데 유효합니다.

     Thiazide계 이뇨제는 증상완화에 효과적이며 고혈압에서 심부전 발생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장기간 작용 DHP계 칼슘차단제는 고혈압이 타약제에 잘 조절되지

     않을 때는 심부전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당뇨병과 고혈압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이 특히 많고, 고혈압환자에서도 당뇨병의 발생이

   2.5배 증가 됩니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동반되는 경우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및 콩팥질환을

   진행시키는데 매우 나쁜 인자입니다. 이 환자들은 대사증후군의 형태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당뇨환자에서 미세알부민뇨(1일 30-300mg/dl)는 신손상의 표식자이며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알리는 예측인자입니다. 또한 수축기 혈압이

   확장기 혈압보다 신잘환의 발병을 예측하는데 더 좋은 인자입니다

   치료목적은

   심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하고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 및 진행을 예방 또는

   완화시키는데 있습니다.

   고혈압의 치료목표는 130/80mmHg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제의 선택은 합병증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1) 제1형 당뇨병환자들에서는 ACE가 일차약으로 추천됩니다.

     2) 미세알부민뇨와 고혈압을 보이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는

        ACE억제제와 ARB가 추천됩니다.

     3) 고혈압과 입상적인 단백뇨, 신기능 저하 등이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ARB가 추천됩니다.

     4) 55세 이상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당뇨병환자에서는

        ACE억제제를 사용합니다.

     5)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비타차단제가 추천되고 있습니다.

   소량의 이뇨제와 베타차단제도 ACE억제제와 같이 제2형 당뇨병의

   심혈관 합병증의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혈압강하효과가 좋은 DHP칼슘 차단제는 단독사용보다는 ACE억제제

   또는 ARB제제와 병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신질환과 고혈압

   만성콩팥병은 GFR이 60ml/min/1.73m²미만(대략 혈청 크레아티닌이

   남자 1.5mg/dl, 여자 1.3mg/dl 이상) 또는 단백뇨(1일 300mg이상)가

   검출되는 환자들이 포함됩니다.

   신기능저하는 혈압과 비례하며, 만성신질환 환자의 대부분은 고혈압이

   나타남니다.

   혈압은 130/80mmHg미만으로 유지하고 단백뇨가 1.0g 이상일 때는  

   125/75mmHg미만으로 철저히 혈압을 조절해야 합니다.

   약제는 ACE억지지나 ARB제제가 권고되며 혈압이 조절이 않되면 이뇨제나

   칼슘길항제 등의 다른 약제를 병용 투여 합니다.

   예후는 수축기 혈압이 낮을 수록, 알부민뇨가 적을수록, ACE억제제로

   치료할 수록 좋았습니다. 또한 DHP계열 칼슘길항제인 verapamil,

   diltiazem등도 신질환에서 단백뇨를 감소시키고 신기능 악화 속도를

   완화시킴니다.

   ACE억제제를 사용할 때 혈청크레아티닌이 투여전보다 35%이상으로 상승

   하거나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면 약물을 중단해야 합니다.

   또한 혈청크레아티닌이 3.0mg/dl 이상인 환자에서 ACE억제제를 투여할

   때는 주기적인 혈청 크레아틴의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혈청크레아티닌이 2.5-3.0mg/dl 이상일 때는 Thiazide보다 loop 이뇨제

   를 투여해야 수분의 축적과 체액의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양측 신동맥 죽상경화증환자에서는 ACE억제제의 사요d은 금기로 되어있

   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칼슘길항제를 투여하는 것이 좋습

   니다.

 

 

                                                                                                                                                                                     고혈압 진료지침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26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25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2
424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23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22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21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20 당뇨병 22. 당뇨병성콩팥병의 예방은? 김병광 2011.10.04 20632
419 당뇨병 23. 당뇨병성 신경병증 예방 김병광 2011.10.06 20759
418 당뇨병 24. 당뇨병성 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 김병광 2011.10.08 21202
417 당뇨병 25. 당뇨병환자는 발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나? 김병광 2011.10.10 18928
416 당뇨병 26.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27. 입원 및 중증질환 시 혈당관리 김병광 2011.10.13 18082
415 당뇨병 28. 당뇨병환자에서의 암 선별검사(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더 잘 발생되는 암은?) 김병광 2011.10.14 15675
414 당뇨병 29. 소아청소년기 당뇨병 김병광 2011.10.17 17610
413 당뇨병 30. 당뇨병과 임신(임신성 당뇨병) 김병광 2011.10.19 18672
412 당뇨병 31. 노인당뇨병 김병광 2011.10.20 26607
411 당뇨병 32. 당뇨병과 수술 전후 관리 김병광 2011.10.21 20609
410 당뇨병 33. 당뇨병환자에서 췌장 및 췌도이식은 ? 김병광 2011.10.24 17777
409 당뇨병 34. 당뇨병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김병광 2011.10.27 22881
408 당뇨병 35. 노인 당뇨병환자의 운동(부록) 김병광 2011.11.02 158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